earticle

논문검색

原著

제주 연안에 유입되는 하천 퇴적물의 분포특성 및 오염도 평가

원문정보

Distribution and Pollution Assessment of River Sediments Flowing into the Jeju Coast

이재영, 양원준, 정효진, 서동주, 이재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astal and river sediments i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to efficiently control the water quality and ecosystem of Jeju Island. Eight sediment samples from the main stream in Jeju Island were obtained around the rainy season in the presence of severe soil runoff. In order to estimate the pollution level of coastal and river sediments, particle size and the components of organic, nutrient salts and heavy metal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andards for rivers/lakes and sub-marine sediments. Results showed that the pollution level of some resign are significantly high in terms of total phosphorus (929.7 mg/kg~1,771.0 mg/kg) and nickel (31.3 mg/kg~120.3 mg/kg). There results suggest that the pollution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volcanic ash soil in Jeju Island and more usage of fertilizer. Continuous monitoring and appropriate treatment of coastal and river sediments are highly required to prevent the sediment pollution in Jeju Island.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he guidelines for fertilizer usage and soil pollution for nickel should b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geological properties of Jeju Island.

한국어

본 연구는 제주도 주요 하천 및 연안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하천 퇴적물의 이화학적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은 제주도내 8개 하천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 시기는 토사유출의 주요 발생원인 강우기 전 후로 구분하여 하천 퇴적물을 채취하였다. 퇴적물의 오염도 분석항목은 입도분포, 유기물, 영양염류, 중금속이며, 평가방 법은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 및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에서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일부지역 에서 매우 나쁨 단계까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총인과 니켈의 경우 각각 929.7 mg/kg~1,771.0 mg/kg과 31.3 mg/kg~120.3 mg/kg으로 이는 제주도 토양의 특징인 화산회토의 지질학적인 영향과 다른 지역보다 높은 비료사용 등과 같은 인위적인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오염된 퇴적물로부터 제주연안 퇴적물의 오염도 관리를 위해서는 하천퇴적물의 관리 및 모니터링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제주도의 지질학적 특징인 회산회토의 성분을 고려한 화학비료 시비방안과 별도의 니켈 토양오염기준치 설정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지점 선정
  2. 시료채취 시기 및 방법
  3. 평가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강우기 전과 후 항목별 분석 결과 및 오염도 평가
  2. 강우기 전과 후 지점별 오염도 평가
  3.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에 따른 오염도 평가
 I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재영 Jae Young Lee. (재)전라남도환경산업진흥원
  • 양원준 Won Jun Yang.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정효진 Hyo Jin Jeong.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서동주 Dong Ju Seo.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이재춘 Jae Choon Lee. (재)전라남도환경산업진흥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