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Differences Based on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University Life Adjustment, Career Preparation based on Faculty’s Cognition
초록
영어
In our county,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is very critical issue not only for universit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but also our whole society. Korea government continuously has tried to improve this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From 2008, Korea government provided a new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system, admission officer system in high school education. The system in revised 2015 considers students’ high school GPA, teacher’s evaluation,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etc.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e system. such as a decline in the scholastic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fabricating documentary evidence. Based on these issues, Korea governmnt tried to re-modified the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ased on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university life adjustment, career preparation based on faculty’s cognition. To pursue it, the study occupied FGI with 14 professo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s at least 5 year and consulting with their students about their college life and career. The results of study provide the students by admission officer system have good academic and career attitude more than the students by regular admission process system. The students by admission officer well-adjusted campus life and activities. This study concluded university faculty need careful concern on students based on university admission types and the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admission strategies in higher education are discussed.
한국어
우리나라에서 대학입학전형은 대학교육과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와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사 회적로 파장도 크다. 이에 의거하여 정부는 지속적으로 대학입학전형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하여 왔 다. 대입전형을 개선하여 고등학교 교육을 정상화 하자는 취지에서 2008년 학생부중심전형 대입정책을 시작으로 2015년에 학생부종합전형제도가 도입되어 내신성적과 함께 수상실적, 교사의 평가, 자기소개 서 등 다양한 항목을 평가하고, 대학의 인재상과 맞추어 학생을 선발하고 있지만 다양한 전형에 따른 학생들의 학력 저하 및 대학생활 부적응, 학생부종합전형 관련 서류를 조작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대입 전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논의선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것 은 과연 전형별 학생들이 대학에서 어떻게 성장해 나가고 있는가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양적연구 에 치중해 있었던 것과 달리 질적인 접근을 통해 전형별 입학생들의 대학에서의 성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목적은 대입전형별 입학생들의 학업, 대학생활, 진로준비행동을 교수자의 인식 을 통해 탐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5년 이상 대입전형별 입학생들의 교육추이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는 A대학의 14인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수업시간이나 교내활동, 상담 등을 통해 교수 자와 학생들이 만나는 접점에서 전형별 입학생들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수시학생 들은 학업태도는 좋았지만, 정시에 비해 학업성취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활동에서 보여지는 사회성은 수시학생들에게 대해 교수자들이 인식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전형별 입학생들의 대학생 활적응은 대입전 관련 전공경험이 있는 수시학생들의 적응도가 뛰어난 것으로 교수자들은 보고하였다. 수시로 입학한 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신념과 준비활동은 고등학교때 경험이 대학교때 진로준비행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험이 필요로 하는 취업준비에 대해서는 정시학생들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 전형별 학생들의 특성에 맞춘 학생지도 및 상담이 제언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대학입학전형별 입학생들의 학업성취에 관한 선행연구
2.2. 대학입학전형별 입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선행연구
2.3. 대학입학전형별 입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의 자료와 대상
3.2 연구 방법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4.1 전형별 입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4.2 전형별 입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4.3 전형별 입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Ⅴ.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