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졸 청년의 취업 전 직업가치 중요도와 취업 후 직업가치 만족도가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job value importance and job value satisfaction of university graduates on their job satisfaction

우혜정, 김지영, 윤관식, 김우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interests about factors which influence job satisfaction have been increasing in organizations. Among various factors, job values are regarded as one of main precursors which strong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that which components of job values affect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ime. Recognizing this lack,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job values affect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i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with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from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s interest, working environment, social reputation, amount of work, fringe benefit, relation with individual’s major, employment stability, level of job task and size of company affect job satisfaction at the time of looking for a job.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interest, wage, working hours, working environment, individual’s development possibility, autonomy and degree of control, promotion policy and employment stability affect job satisfaction after getting a job. Implications of this study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levels are discussed.

한국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되었던 고용시장의 점진적인 개선의 이면에는 청년층의 실업률 증가, NEET족 증가, 취업준비기간 증가 등 다양한 질적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특히 대학진학률이 70%에 육 박하는 우리나라에서 대졸 청년의 짧아진 근속기간은 개인, 기업, 사회적 손실과 연결되는 사회적 문제 로 떠오르고 있다. 대졸 청년들이 회사를 그만두는 주요 원인으로 직장에 대한 불만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만족도를 제고시키는 예측 변인 중 직업가치에 주목하여 취업 전 직업가치 중요도와 취업 후 직업가치 만족도가 개별적으로 직장만족도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3년도 패널 자료를 활용하 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 전 직업가치 중요도의 세부 요인은 자신의 적성·흥 미, 근무환경,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평판, 업무량, 복리후생, 전공분야와의 관련성, 직장(고용) 안정성, 업무내용의 난이도, 회사규모 등의 순으로 직장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20.4%의 설명력과 medium to large effect size의 실질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후 직업가치 만족도의 세 부 요인은 자신의 적성·흥미의 일치, 임금 또는 소득, 일하는 시간(근로시간, 근무일수), 근무환경(시설, 안전, 위생상태 등), 개인의 발전가능성, 하고 있는 일의 자율성과 권한, 인사체계(승진제도), 고용의 안 정성 등의 순으로 직장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53.5%의 설명력과 large effect size 이상의 실 질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인 및 교육기관의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 나아가 조직 및 국가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직업가치
  2.2 직장만족도
  2.3 직업가치와 직장만족도의 관계
 Ⅲ. 연구방법
  3.1 분석자료 및 측정도구
  3.2 조작적 정의
  3.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동일방법편의, 정규성, 신뢰도, 상관관계
  4.2 취업 전 직업가치 중요도와 직장만족도
  4.3 취업 후 직업가치 만족도와 직장만족도
  4.4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 전·후 직업가치 요인
 Ⅴ. 결론 및 논의
  5.1 결론
  5.2 시사점 및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우혜정 Hea-Jung Woo.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김지영 Ji-Young Kim.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윤관식 Gwan-Sik Yoon.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학과·HRD전문대학원 교수
  • 김우철 Woo-Cheol Kim.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학과·HRD전문대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