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압수물환부청구권의 강제집행

원문정보

Civil Execution Process over the Returning Claim of a Seized Property

박준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almost an established precedent to put the returning claim execution of seized property under the category of claim execution for delivery movables. Executions on claim for delivery movables mentioned in the Article 243 of Civil Execution Law goes under the execution on the rest of property. Practically, 'the execution on the rest of property' is a terminology defining the execution of non-pecuniary claim based on financial bond but the returning claim for seized property is a right under Official Law that an investigation organization has to obligate and also is a procedural right in certain conditions. As to say, although it has a property of right under Offical Law, it goes under execution on claim for delivery movables which is one of non-pecuniary claim executions due to its substantial importance. In many cases of seized property execution, whether the seized property belongs to the possession of debtor or not is not clear for the creditor. In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2008 Gahab 105305 case, the attorney mistakenly wrote debtor's name wrong while applying for the order of attachment on the delivery claim of the seized currency that was kept in a bank. As a result, the assignment order has been invalidated, and the client was financially damaged as a creditor. The client sued the attorney to be defeated. This case shows that, in the application for attachment order, concluding the owner of seized property is not easy even to a legal expert agency. Furthermore, the formalism in legal execution procedure does not allow the trial on defining the owner of seized property in spite of possible oppositions. It is questionable whether an assignment order in returning claim execution of seized property is possible in some exceptional cases. In the lower instance of above 2008 Gahab 105305 case, it is judged that claim for ing seized currency deposited in bank account after once seized can be the object of an assignment order because the returning claim is not a claim for delivery of movables but that of pecuniary claim. However, the execution structure in returning claim execution of seized property is similar to the returning claim execution objects in a safe deposit box at a bank. The legal characteristic of returning claim execution of seized property is merely a delivery claim of the seized property, that is a movable property. In addition, although a prosecutor orders the seized currency to be kept in a bank as a deposit, financial claim in that case just belongs to the category under returning claim of seized property. This explanation accords to Article 245, Civil Execution Law, and does not theoretically contradict. There could be an unacceptable judgement for the creditors to obligate because they cannot know the inner situation of a competent authority. Or, depending on the prosecutor’s order, it can fall into either the execution of non-pecuniary claim or pecuniary claim, especially an assignment order. My assertion might contradict with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2009 Gahab 60072 case in some aspects. The decision made by the prosecutor’s office might be different from my assertion theoretically. However, prosecutor’s office may choose the means of deposit for returning the seized property according to Civil Execution Law article 248, which states about becoming free from the liability. Deposit should not be excluded as a means of returning claim execution of seized property because the deposit should be included as a way of returning by an understanding of Article 248, Civil Execution Law. The prosecutor’s office, as a third debtor, has a discretionary authority to select returning means of seized property and although deposit is not a typical way of returning seized property, legal liability of returning, in my opinion, covers pecuniary obligation.

한국어

압수물환부청구권에 한 강제집행은 그 실질은 유체동산 인도청구권집 행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확립된 판례의 태도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민사 집행법 제243조의 유체동산 인도청구권집행은 기타재산권집행의 범주에 속 한다. 이른바 실무상 ‘기타재산권집행’은 금전채권에 기초하여, 비금전재산 권(非金錢財産權)에 한 강제집행을 지칭하는 용어인데 압수물환부청구권 은 비록 수사기관의 환부의무에 응하는 공법상 권리이며 절차적 권리, 즉 공법상의 권리라는 성격을 갖기는 하지만 그 실질(實質)을 중시하여 비금전 재산권집행 중 하나인 유체동산 인도청구권집행으로 선해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압수물환부청구권의 집행에 있어서 압수물(환부청구권)이 집행채무자의 책임재산에 속하는 것인지 여부가 집행채권자의 입장에서 명확하지 않은 경 우가 실무상 많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08가합105305 판결사안에서는 압 수물인 통화 가운데 은행보관 부분에 하여 전부명령을 신청한 리인변호 사가 전부명령의 집행채무자를 잘못 기재하다. 그 결과 전부명령은 무효 가 되었고 의뢰인인 원고는 재산상 손해를 입게 되어 리인변호사를 상 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하으나 패소하다. 이 사례는 압수물환부청구권 의 압류신청에 있어서 책임재산인 피압류재산권의 귀속주체에 관한 판단이 법률전문가인 신청채권자 측에서조차도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나아가 반소수설도 있지만 책임재산의 귀속여부에 관한 심리는 집행의 형식주의 에 역행하는 것이어서 허용되지 않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압수물환부청구권집행에서 전부명령이 예외적인 경우에 가능할 수 있는 지 여부가 문제된다. 위 2008가합105305 하급심판결은 압수 후에 은행계좌 에 예치시켜 보관한 금원에 한 반환청구권은 유체물인도청구권이 아닌 금 전채권이어서 전부명령의 상이 될 수 있다고 하여 해석상 문제를 제기한 다. 그러나 압수물환부청구권의 강제집행 구조는 은행의 여금고제도에 있 어서 내용물인도청구권의 압류와 유사하다고 할 것이다. 압수물환부청구권 의 법적 성격은 압수물 자체, 즉 유체동산에 한 인도청구권일 뿐이다. 설사 검사의 지휘로 압수물인 통화가 보관금 형태로 보관된다고 하더라도 그 때 의 금전반환채권은 압수물환부청구권의 내용 또는 범주에 포함되는 것일 뿐 이다. 이러한 해석은 유체물의 인도나 권리이전의 청구권에 하여는 전부 명령을 하지 못한다고 규정한 민사집행법 245조와 부합할 뿐더러, 이론적인 난점을 가져오지 않는다. 집행채권자의 입장에서는 제3채무자인 한민국의 소관청 내부의 사정을 아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뿐만 아니라, 압수물 에 한 검사의 지휘 여하에 따라 — 어떤 때는 비금전채권에 한 집행이 유효적절한 수단이 되기도 하고, 어떤 경우는 금전채권에 한 집행, 특히 전부명령의 행사가 유효적절한 수단이 되기도 하는 — 法感情상 일종의 비 상식적 결론이 내려지게 된다면 집행채권자로서는 승복하기 어려운 재판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필자의 주장은 서울중앙지방법원 2009 가합 60072 판결과 어 떤 견지에서는 모순된다고 말할 지도 모른다. 압수물의 환부방법으로써 한민국 검찰청이 금전채무에서 벗어나기 위한 법 제248조의 집행공탁의 방 법을 택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필자의 결론과 논리일관되지 않는 것이 아닌 가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생각건 민사집행법 248조의 해석상 공탁이 압수물환부의 방법으로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3채무자의 금전공탁이 압 수물의 환부청구권 집행의 수단으로써 배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제3 채무자로서 검찰청은 압수물환부의 방법을 선택할 재량권이 있으며, 금전공 탁이 전형적 의미에서의 압수물환부방법은 아니라 하더라도 압수물환부의 무는 금전채무를 포괄한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형사소송법상 압수물의 환부 개관
 Ⅲ. 압수물환부청구권에 대한 민사집행절차
  1. 개설
  2. 압수물환부청구권에 대한 본집행방법(本執行方法)
   가. 유체동산 인도청구권집행
   나. 압수물환부청구권에 대한 집행과피압류적격의 쟁점별 검토
   다. 책임재산 여부에 대한 집행법원의심리 및 그 정도에 관한 논쟁
   라. 수원지방법원 2013. 3. 5.자 2012라1845 결정 및 재항고심 대법원2013. 4. 19.자 2013마426 결정의타당성
 Ⅳ. 압수물환부청구권집행에서 전부명령이 예외적으로 가능할 수 있는지 여부
  1. 문제의 제기
  2. 판례사안 - 서울중앙지방법원 2009.5. 22. 선고 2008가합 105305 판결
  3. 검토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준의 Park, Jun Ui.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 민사과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