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Group-level Diversity and Performance : An Exploration of Mediators

원문정보

작업집단의 다양성과 성과 : 매개효과의 탐색

Jee Young Seo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demographic and information), cohesion (social and task) and performance at the group level. Data were collected from 99 work teams in an electronic equipment manufacturing firm in Korea. Based on social categorization and information/decision-making perspectives, this study proposes that group cohe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group diversity and group performance. Given various dimensions of diversity, this paper focuses on age composition for demographic diversity and organizational tenure as a criterion for information diversity. It is hypothesized that social (interpersonal) cohe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i.e., age) diversity and group performance, and that task cohesion functions as a mediator between information (i.e., organizational tenure) diversity and group performance. In the first stage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diversity and cohesion, it was found that age diversi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cohesion, but organizational tenure diversity is positively related to task cohesion. Diverse age composition in the workgroup weakens social cohesion. On the other hand, organizational tenure diversity enhances task-related group cohesion. Greater information diversity with respect to diverse organizational tenure produces more elaboration and expansion of task-relevant information because members are more likely to possess multiple concerns and agendas and to hold more comprehensive knowledge that will enable them to locate the best solutions for the team task. This result has interesting implications for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demographic and information diversity on performance at the group level. In the second stage relating to mediation, the results show that task cohesion positively transmits the effect of information diversity to group performance. However, social cohesion no longer functions as a mediator between demographic diversity and group performance.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both diversity and group cohesion. On the issue of diversity, both demographic and information diversity constitute a valuable source of variability in organizations. Social and task group cohesion increase the benefits of team diversity by fostering enlarged pools of ideas and perspectives. Task group cohesion also ensures that information disparities among team members do not to lead to harmful effects of diversity as long as optimal team composition is properly managed. This study extends and enhances explanations of how diversity and group cohesion matter in teams. Social and task group cohesion are necessary components of a more complete picture of how diversity influences group performance. The results reflect the fact that the substantive effect of diversity is transmitted through group cohesion. Based on the findings and discussion presented in the present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to the organizations seeking to cope with an increasingly diverse workforce at the same time attaining high performance. In this study, an integrative model is tested incorporating the influences of work team diversity and cohesion to reveal and examine inconsistencies found in the extant literature on diversity. Hopefu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stitute the basis for expanding the body of knowledge concerning multifaceted relationships between diversity, cohesion and performance.

한국어

본 연구는 작업집단의 다양성(인구학적 다양성과 정보 다양성), 응집성(사회적 응집성과 과업 응집성) 및 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범주화이론(social categorization theory)과 정보-의사결정이론(information/decision-making theory)을 토대로 하여, 집단 응집성이 작업집단의 다양성과 집단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것을 가설로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회적(팀원 간) 응집성은 인구학적 다양성(연령 다양성)과 집단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며, 과업에 기초한 응집성은 정보 다양성(팀내 경력 다양성)과 집단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집단 다양성과 응집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첫 단계 분석에서는 연령 다양성은 사회적 응집성과 부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조직 내 경력 다양성은 과업 응집성과 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과업집단 내 다양한 연령구성은 사회적 응집성을 약화시킬 수 있지만, 조직 내 경력 다양성은 과업 관련 집단 응집성을 오히려 높여주고 있다. 팀 구성원들의 다양한 경력에서 오는 정보 다양성은 팀 구성원들의 다양한 관심과 폭넓은 시야로 인해 과업수행을 위한 정보를 정교화하고 확산시킴으로써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한다. 매개효과를 살펴본 두 번째 단계 분석에서는 정보 다양성은 과업 응집성을 통해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사회적 응집성은 인구학적 다양성과 직무성과 간에 매개요인으로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집단 다양성과 집단 응집성에 관한 연구성과에 기여하고 있다. 다양성과 관련된 쟁점에 있어, 인구학적 다양성과 정보 다양성은 모두 조직 내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근원이 된다. 특히 과업에 기초한 응집성은 팀 구성원들이 갖는 아이디어와 관점의 폭을 넓혀줌으로써 팀 다양성의 긍정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팀 구성의 다양성이 적정하게 확보되고 관리된다면 과업관련 집단 응집성은 팀원들간의 정보 불균형이 집단 다양성의 부정적 효과로 나타나지 않도록 해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배경의 노동인력을 관리하는 조직이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실용적 함의도 제시한다. 경영진은 넓은 범위의 과업 관련 자원과 시간을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조직의 다양성으로부터 오히려 이득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유형의 다양성이 가져 올 부정적 효과도 방지하도록 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끝으로 차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한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Hypothesis Development
  2.1 Demographic Diversity and Social Cohesion
  2.2 Information Diversity and Task Cohesion
  2.3 Group Cohesion and Group Performance
  2.4 Mediating Role of Group Cohesion
 Ⅲ. Methods
  3.1 Data and Procedure
  3.2 Measures
 Ⅳ. RESULTS
 Ⅴ. DISCUSSION
  5.1 Summary of Findings
  5.2 Theoretical Implications
  5.3 Practical Implications
  5.4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Ⅵ. Conclusion
 참고문헌 (References)
 국문요약

저자정보

  • Jee Young Seong 성지영.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Research Institute of Big Data Busines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BNU)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