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ports BL Number by Domestic and major Economic Region

원문정보

국내 및 주요 경제권별 BL 수출화물건수 비교 분석

Soo Ho Choi, Jeong Il Choi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number of BL exports in Korea and the number of BL exports in APEC, OECD, NAFTA, ASEAN, EU and East South Asia.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increase Korea’s exports. For this in this study, data on export amount, number of BL export and export weight of Korea were used. In addition, we used the number of BL exports from APEC, OECD, NAFTA, ASEAN, EU and East South Asia. The analysis period of export amount, number of BL export and export weight of Korea was 144 monthly data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7. The analysis period of APEC, OECD, NAFTA, ASEAN, EU and East South Asia used annual data for 16 years from 2002 to 2017.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In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BL exports number by Korea and each economic zone, the average was 4.249% for EXNUM, 3.911% for APEC, 1.141% for OECD, 3.070% for NAFTA, 5.471% for ASEAN, 1.764% for EU and 4.014% for ESASIA. ASEAN has an average of 5.471% and a standard deviation of 13.921, showing the highest rate of increase and high volatility. In the correlation of each indicator, the number of BL exports shows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order of APEC (0.963), EU (0.569), OECD (0.559) and NAFTA (0.512). ACEAN has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68 with ESASIA. In regression analysis by each economic region, coefficient is APEC 0.856 but remaining indicators are almost irrelevant on the BL export number of dependent variable. The adjusted R-squared was calculated as 0.596, and the change of EXNUM in the regression model shows the explanatory power of 59.6%. OEC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statistic and p-value(≤0.1), ASEAN and EAASIA at t-statistic and p-value(≤0.05). On the other hand, APEC, NAFTA and EU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In the growth rate analysis for each indicator, it is showing a high rate of increase in the following order : ASEAN 225%, EXNUM 209%, APEC 198%, ESASIA 196%, NAFTA 169%, EU 140% and OECD 128%. The growth rates of ASEAN, APEC and ESASIA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NAFTA, EU and OECD. Therefore, we need to continuously increase exports to ASEAN, APEC and ESASIA. The interest in NAFTA, EU and OECD should continue to be raised. At the annual rate of change for each indicator, ASEAN fluctuations are the largest, showing a variation of between -20% and 40%, followed by APEC and ESASIA as a whole. The growth rate distribution chart for each indicator shows the high frequency in the next section : EXNUM for 0%~8%, APEC for -4%~8%, OECD for 0%~5%, NAFTA for -5%~15%, ASEAN for -10%~20%, EU for 0%~8%, ESASIA for -5%~10%. ASEAN, EXNUM, ESASIA and OECD show high density. In Scatter Charts for each economy sector versus BL export number, distribution of APEC, ASEAN and ESASIA is weakly upward compared with EXNUM. APEC is strong, ASEAN and ESASIA are weakly cooperating with EXNUM.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Korea’s exports, Exports to ASEAN, APEC, and ESASIA, which showed a high rate of increase during the last 16 years, should be continuously increased. In addition, new markets should be developed in NAFTA, EU and OECD, which have relatively low growth rates. Exports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APEC, EU, OECD, and NAFTA, which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Korean BL exports. Overall, Korea’s exports should have a steady interest in the world, rather than at any particular economic reg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BL수출건수와 APEC, OECD, NAFTA, ASEAN, EU, East South Asia의 BL수출건수를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수출 증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수출금액, BL수출건수, 수출중량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경제권역별 APEC, OECD, NAFTA, ASEAN, EU, East South Asia의 BL수출건수 지료를 이용하였다. 한국의 수출금액, BL수출건수, 수출중량의 분석기간은 2006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총 144개 월간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APEC, OECD, NAFTA, ASEAN, EU, East South Asia의 분석기간은 2002년부터 2017년까지 총 16년간 연간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치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과 각 경제권역별 BL수출건수의 기초통계량에서. 평균은 EXNUM 4.249%, APEC 3.911%, OECD 1.141%, NAFTA 3.070%, ASEAN 5.471%, EU 1.764%, ESASIA 4.014%으로 나타났다. ASEAN은 평균 5.471%와 표준편차 13.921을 보이고 있어 가장 높은 상승률과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각 지표별 상관관계에서, BL 수출건수(EXNUM)는 APEC(0.963), EU(0.569), OECD(0.559), NAFTA(0.512) 순으로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ACEAN은 ESASIA와 가장 높은 상관계수 0.968를 보이고 있다. 각 경제권역별 회귀분석에서, 종속변수인 BL수출건수에 대해 Coefficient가 APEC 0.856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지표들은 거의 무관한 수치로 판단된다. 수정된 R-squared가 0.596로 산출되어 회귀모형에서 EXNUM의 변화가 59.6%의 설명력을 보여주고 있다. OECD는 t통계량과 p-value(≦0.1)에서, ASEAN과 EAASIA는 t통계량과 p-value(≦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산출되었다. 반면 APEC, NAFTA, EU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지표별 상승률 분석에서, ASEAN 225%, EXNUM 209%, APEC 198%, ESASIA 196%, NAFTA 169%, EU 140%, OECD 128%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ASEAN, APEC, ESASIA의 상승률이 NAFTA, EU, OECD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ASEAN, APEC, ESASIA에 수출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야 한다. NAFTA, EU, OECD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높여야 할 것이다. 각 지표별 연간 변동률에서, 전반적으로 ASEAN 변동률이 가장 크게 나타나면서 -20~40% 사이를 보이고 있다. 이어 APEC와 ESASIA가 높은 변동률을 보이고 있다. 각 지표별 연간 상승률 분포도에서, EXNUM은 0%~8%, APEC는 -4%~8%, OECD는 0%~5%, NAFTA는 -5%~15%, ASEAN은 -10%~20%, EU는 0~8%, ESASIA는 -5%~10% 사이에서 높은 Frequency를 보이고 있다. ASEAN, EXNUM, ESASIA, OECD가 높은 밀집도를 보이고 있다. BL수출건수 대비 각 경제권역별 Scatter Charts에서, EXNUM과 비교하여 APEC, ASEAN, ESASIA의 분포가 미세하지만 우상향하고 있다. APEC은 EXNUM과 강하게, ASEAN과 ESASIA은 약하게 동조화현상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수출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지난 16년 동안 상승률이 높은 ASEAN, APEC, ESASIA 경제권에는 수출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낮은 NAFTA, EU, OECD 경제권에는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서야 할 것이다. 한국 BL 수출건수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난 APEC, EU, OECD, NAFTA에는 향후 지속적으로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전반적으로 한국 수출은 어느 특정 경제권역보다는 전 세계를 상대로 꾸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Precedent Research
  2.1 APEC
  2.2 ACEAN
  2.3 NAFTA
  2.4 EU
  2.5 OECD
  2.6 East South ASIA
 Ⅲ. Data Collection and the Export BL Number
  3.1 Data Collection
  3.2 the Export BL Number
 Ⅳ. Empirical Analysis
  4.1 Numerical Analysis
  4.2 Model Analysis
 Ⅴ. Conclusion
 Reference
 국문요약

저자정보

  • Soo Ho Choi 최수호.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 Jeong Il Choi 최정일. Sungkyul University, Anyang,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