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기독교교육의 진단과 과제

원문정보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Diagnosis and Future Tasks

박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can be diagnosed based on five tendencies of recent Christian education theories. These include the integrated catechesis religious education model by Thomas Groome, an understanding of multi-media communication from Pierre Babin, Stanley Grenz’s postmodern Gospel, the faith-community theory by John Westerhoff, and the integration of discipleship and citizenship proposed by John Coleman. We can find five kinds of separation in current Christian education through this diagnosis. First, there is a separation between church, family, and school. The original view of Christian education is a holistic education including church education, family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but, unfortunately, these elements are separated. Second, there is a separation between knowing and living. Traditional ‘modern’ Christian education has a tendency to emphasize only the importance of the cognitive domain, detached from real life. Third, there is a separation between ministry and education. Generally, the ministry in Korean churches focuses on adults, though the education focuses on children and youth. This dualistic thinking has weakened educational ministry, which emphasizes both ministry and education for all generations. Fourth, there is a separ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oretical search separated from its context cannot be a channel to transform the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It is not easy for scholars, most of whom have only studied Christian education theoretically in other countries, to change Christian education in the Korean context. Fifth, there is a separ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Kingdom of God. The emphasis on discipleship has brought about church growth, but the lack of emphasis on citizenship has prevented the church from a true pursuit of the Kingdom of God. The way to overcome these separations in Christian education is through integration. First, church education, family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should be connected with one anoth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tal curriculum’ which integrates church, family, and school. Second, emphasis must be put on practical research, accompanied by practitioners working in the Korean context of Christian education. Third,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categorized into diverse sub-categories which are connected to professional areas in the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Professionalism in Christian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Fourth, it is crucial for Christian educators to propose diverse models of educational ministry as alternatives to the traditional schooling paradigm. Fifth, Christian education should pursue the pedagogy of God instead of the growth of the church and the church school, keeping in mind that the goal of Christian education is to build the Kingdom of God in the area of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기독교교육학 또는 관련 분야의 다섯 가지 동향에 근거해서 한국 기독교교육을 진단하고 그 과제를 모색하는 연구이다. 다섯 가지 동향에는 토마스 그룸의 통전적 카테케시스 종교교육, 삐에르 바뱅의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이해, 스탠리 그렌츠의 포스트모던 복음, 존 웨스트호프의 신앙공동체 이론 그리고 존 콜만의 제자직과 시민직 통합이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준거에 의해 한국 기독교교육을 진단해 볼 때 다섯 가지 분리 현상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첫째는 교회, 가정 및 학교의 분리 현상이다. 원래 기독교교육은 교회, 가정, 학교가 연계된 통전적 기독교교육인데, 교회와 가정, 교회와 학교, 가정과 학교가 분리됨으로써 편협한 기독교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는 앎과 삶의 분리이다. 인지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는 근대주의적 교육과 아직도 활자 인쇄 커뮤니케이션에 머무르는 교육방식은 삶과 분리된 앎만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는 목회와 교육의 분리이다. 목회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고 교육은 자라나는 세대를 위한 것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는 성인에 대한 교육과 자라나는 세대를 위한 목회적 관심을 약화시켰다. 넷째는 이론과 실천의 분리이다. 상황으로부터 분리된 학문적인 탐구는 현장의 문제를 변화시키는 데에는 역부족이었고, 해외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국내에 적용하는 방식으로는 신학과 교회현장의 분리를 가중시켰다. 다섯째는 교회와 하나님 나라의 분리이다. 제자직에 대한 강조는 교회성장을 가져왔지만 시민직에 대한 강조의 부족은 교회성장이 하나님 나라의 확장과 연결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분리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은 통합이다. 첫째, 교회, 가정, 학교가 통합되어야 하고 이러한 통합을 가능케 하는 ‘통합적인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한 학생이 하나님 나라의 일군으로 성장하기 위해 교회, 가정, 학교에서 어떤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둘째, 현장연구가 심화되어야 한다. 기독교교육은 현장의 변화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현장에 대한 반성적 사고로서의 현장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기독교교육학의 하위영역이 구분되어야 한다. 특히 현장 중심으로 기독교교육학의 하위 영역이 구분될 때 전문성이 고양될 뿐 아니라 실천 변혁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넷째, 교육목회 모델을 제시하여야 한다. 근대적 교회학교 중심의 교육의 한계를 인식한다면 실천 가능한 구체적인 교육목회 모델을 대안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다섯째, 하나님의 교육을 추구하여야 한다. 교회학교 성장이나 교회성장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 교육이어야 하고, 이 땅의 교육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교육으로 변혁시켜야 한다.

목차

<요약>
 I. 들어가는 말
 II. 기독교교육학의 다섯 가지 동향
  1. 토마스 그룸의 총체적 카테케시스/종교교육
  2. 삐에르 바뱅의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이해
  3. 스탠리 그렌츠의 포스트모던 복음
  4. 존 웨스트호프의 신앙공동체 이론
  5. 존 콜만의 제자직, 시민직 통합 이론과 공적 실천신학
 III. 한국 기독교교육의 분리 현상
  1. 교회와 가정 및 학교의 분리
  2. 앎과 삶의 분리
  3. 목회와 교육의 분리
  4. 이론과 실천의 분리
  5. 교회와 하나님 나라의 분리
 IV. 통합을 위한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1. 통합적인 교육과정 개발
  2. 현장연구의 심화
  3. 기독교교육학 하위 영역의 구분
  4. 교육목회 모델의 제시
  5. 하나님의 교육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상진 Park, Sang Jin. 장신대, 기독교교육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