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의 시민성교육 모형 정립 및 방향 설정 - 자유주의 철학에 기초하여 -

원문정보

Formation of Model & Approach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Focused on Liberalism-

정호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의 유교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집단적 적합성 추구 경향과 근래에 서구 자유주의 사상의 유입으로 타나난 개인적 적합성 추구 경향이 공존하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 사회에서의 시민성교육의 접근 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서구로부터 유입된 자유주의적 사회ㆍ문화와 한국의 전통적 사회ㆍ문화의 장점을 수용하고 단점을 배제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나타나는 충돌을 극복할 수 있는 시민성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시민성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자유주의는 개체성ㆍ자율성ㆍ합리성이라는 특성을 갖는 개인들을 전제하는 개인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로부터 다원주의ㆍ상대주의ㆍ중립주의라는 가치론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한국사회에는 전통적 유교문화에서 비롯된 집단주의ㆍ권위주의 간섭주의 등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자유주의에서 추구하는 시민성교육의 접근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자유주의에서 추구하는 시민성에는 많은 효율성이나 장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 한계나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한계나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을 한국의 전통문화에서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에서 서구의 자유주의 문화와 한국의 전통문화 사이의 충돌을 극복하고 서로의 장점을 수용하는 바람직한 시민성교육의 접근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즉 다원주의의 수용과 상대주의의 한계 극복, 개인적 적합성과 집단적 적합성의 상호성 수용,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구분과 조화 유지,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요구되는 민주시민적 자질의 설정과 육성이 그것이다. 한국의 시민성교육에서 요구되는 시민적 자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바람직한 삶 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준법정신, 협동정신, 바람직한 정치참여 능력.

주요어: 시민성교육, 시민성교육 모형, 한국의 전통문화,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유교

목차

《내용 요약》
 I. 들어가는 말
 II. 연구 내용 및 방법
 III. 시민성교육에 접근하는 두 관점
  1. 반완벽주의(anti-perfectionism)와 완벽주의(perfectionism)
  2. 개인(individual)과 사회(society)
  3. 의무론(deontology)과 목적론(teleology)
  4. 사적 가치(private value)와 공적 가치(public value)
 IV. 한국의 전통 문화와 시민성교육
  1.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
  2. 한국의 전통문화가 시민성교육에 주는 함의
 V. 바람직한 시민성 교육의 접근방향 탐색
  1. 다원주의의 수용과 상대주의 한계 극복
  2. 개인적 적합성과 집단적 적합성의 상호성 수용
  3.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구분과 조화
  4. 민주시민 자질의 설정과 육성
 VI. 맺음말 : 한국의 시민성교육 모형 정립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호범 Cheong, Ho-Bhum. 진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