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과 수업에서 ‘탐구의 의미’

원문정보

The Meaning of inquiry in social Studies

이종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사회과 탐구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대상 곧 탐구의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 사회과 수업이 탐구수업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소개된 제3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이다. 탐구수업이 현장에 도입된 지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탐구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주된 대상이 무엇인가를 교사들에게 질문하면 그다지 명쾌한 대답을 하지 못한다.
주지하다시피 ‘탐구 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대상’을 사회현상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의 과정과 기능이다. 이 점에서 보면 교사가 사회탐구 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대상은 특정 개인에 한정된 ‘창의적 사고’라기보다는, 탐구를 할 때 누구에게나 요구되는 ‘비판적 사고’에 가깝다. 이처럼 사회탐구 수업에서 ‘탐구의 의미’를 비판적 사고로 보면, 이러한 ‘비판적 사고하기’ 능력이 어디에서, 어떻게 얻어질 수 있는가의 문제에 대한 답이 필요하다.
이에 필자는 교실 수업에서 길러져야할 ‘탐구의 의미’는, 탐구 과정 곧 탐구절차의 기계적인 익힘에서 찾기 보다는 구체적인 탐구 사례분석에서 그 요인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우수한 탐구사례 분석을 토대로, 필자는 탐구하기를 ‘추론하기.분류하기.자료 해석하기’와 같은 기능을 반복적으로 연습함으로써 학습자가 얻게 되는, 사회과 ‘교과의 기본적 구조’로 보았다. 여기서 ‘사회과 교과의 기본적 구조’란 사회과 수업에서 가르쳐야 할 탐구이며, 동시에 브루너가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 강조했던 교과내용이라 할 수 있다.

주요어 : 비판적 사고, 추론하기, 분류하기, 교과의 기본적 구조

목차

《내용 요약》
 I. 머리말
 II. 사회수업에서 '탐구의 의미'
  1. 수업에서 '탐구의 개념'
  2. 탐구 사례
 III. 사회탐구와 비판적 사고
  1. 사회탐구와 비판적 사고
  2.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3. 탐구에서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IV. 비판적 사고하기의 실례
 V. 사회탐구와 사고 기능
  1. 탐구 기능의 두 차원
  2. 미시적 차원: 추론하기·분류하기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일 Jong-Il, Lee. 대구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