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대화적 상황에서 사용되는 의지 감탄사는 형태는 동일해도 화맥 안에서 여러 가 지 의미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제적이고 자연스러운 사용을 분석하기 위해 TV 대담 프로그램을 전사하여 세밀하게 분석한 결과 하나의 감탄사가 기존의 정의에 비해 훨씬 더 다양한 의미 기능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 아가 한국어 교육적 차원에서 대화에서 쓰이는 감탄사의 의미 기능의 분류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제고해보고자 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감탄사 분류
2.1. 감탄사의 유형 분류
2.2. 담화표지로서의 감탄사의 기능 분류
3. ‘예’, ‘네’, ‘아니’의 의미 기능 분석
3.1. ‘예’와 ‘네’
3.2. ‘아니’
4.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2. 감탄사 분류
2.1. 감탄사의 유형 분류
2.2. 담화표지로서의 감탄사의 기능 분류
3. ‘예’, ‘네’, ‘아니’의 의미 기능 분석
3.1. ‘예’와 ‘네’
3.2. ‘아니’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