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위기의 중년 기독교 여성을 위한 여성주의 목회 상담 : 세 명의 내담자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nd Pastoral Care for Christian Women’s Experiencing Mid Life Crises with Emphasis on Christian Women Clients

권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ce of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nd pastoral care as a means to help Korean, Christian women overcome their midlife crises. In order to do so, I will use three case studies from 2014-2018 detailing how three long term, Christian, female clients faced and overcame their midlife crises with the support of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Their crises often included, but were not limited to, severe physical and mental illnesses, such as, kidney malfunction that required a permanent transplant, reoccurring cancer, and severe depression that led to many hospitalizations. These narratives will address the lack of literature depicting how Korean Christian women have found healing through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lthough Korean feminist theologians have focused on exploring the diverse life experiences of Korean women that were previously ignored by male based theories, there is still a scarcity of published articles regarding the healing process grounded in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Thus, this paper is centered around these clients’ life stories and how they found healing amidst their midlife crises. Furthermore, this paper explores how Korean churches have not provided sufficient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or faithful Christian women who have suffered from physical diseases. In the midst of these desperate times requiring psychological and spiritual support, these women were unable to approach any church leader due to their shame stemming from the belief that their illness was a sign of their lack of faith. Although they were not able to find healing within the church, they were able to turn to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s the main source of support and healing. For these three long term clients, three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theories were applied: Brené Brown’s shame resilience theory, Relational Cultural Theory and Christie Neuger’s feminist narrative counseling theory. These theories empower females to share their shame, help them realize how they have been oppressed by the patriarchy, and deconstruct their oppressed identity and life stories. Through these theories, the clients reconstructed their feminist identity by “re-imagining”and “re-telling” their stories that have been oppressed by the patriarchy. Furthermore, these women, who had previously experienced an oppressive God, were able to cultivate a new healing connection with God. Therefore, this paper illuminates how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nd pastoral care can be a powerful a healing resource for Korean Christian women who experience middle life crises.

한국어

이 연구 논문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여성주의 목회 상담을 받았던 세 명의 한국 중년 기독교 여성 내담자들의 사례를 분석한 논문으로 한국 중년 기독교 여성이 삶의 위기를 경험할 때 여성주의 목회 상담이 여성들의 위기 극복과 영적 성숙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그 동안 여성주의 목회 상담학자들은 여성들의 삶의 이야기를 목회 상담의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분석해 왔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 목회 상담 연구 논문 중에는 중장기 여성주의 목회 상담을 받고 치유 경험을 한 중년 여성의 사례들을 분석한 경우는 많지 않다. 이 연구 논문에 등장하는 세 명의 여성 내담자들의 공통적인 호소 문제는 첫 번째로, 내담자들이 죽음의 고통을 겪었던 질병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신장 이식 수술, 두 번의 암 투병, 수차례 입원을 거듭한 극심한 우울증을 통하여 죽음의 고통을 경험했다. 이들은 모두 신실한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기독교 신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질병을 교회에서는 말할 수 없었고 오히려 삶의 위기가 신앙의 수치심의 근원으로서 작용을 하게 되었다. 질병은 신앙의 긍정적인 상징이 아니라는 주관적 혹은 객관적인 신앙적 분위기 때문에 교회는 위로를 받는 것이 편하지 않았다. 두 번째로, 내담자들은 모두 우울증을 앓고 있었는데 이 우울증의 중요한 원인으로써 가부장적 억압이 자리 잡고 있었다. 따라서 이런 내담자들을 위한 치유의 접근법으로 여성주의 목회 상담 이론들이 사용되었다. 첫째, 브레네 브라운의 수치심 회복 탄력성 이론을 사용하여 여성의 우울증의 근원이 되는 수치심을 회복하여 용기와 긍휼을 통해 여성들의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었다. 둘째, 관계 문화 이론을 사용하여 내담자와 상담자간의 치유적 관계 형성을 위한 취약성, 진정성, 상호성의 가치를 조명하였다. 관계 문화 이론은 여성의 관계적 자아 형성의 중요성을 주장하며 가부장적 억압에 상처받은 여성들의 관계성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셋째, 크리스티 코자드 누거의 여성주의 이야기 상담을 통하여 가부장적 억압의 해체가 여성 치유에 필수적이 역할을 했음을 조명하고 가부장적 억압을 통해 형성된 여성들의 삶의 이야기를 해체적으로 경청하고 다시 상상하고 이야기함으로써 중년의 위기를 겪고 있는 여성들의 해방과 치유의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여성들의 다시 이야기하기의 주제는 정서적, 심리적인 것을 넘어서 그들의 내적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것에 이르렀다. 결국 이런 여성들의 하나님 이야기 다시하기를 통해서 중년의 삶의 위기를 통해 깊은 영적 성숙의 경험을 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여성주의 목회 상담은 삶의 위기 속에 있는 세 명의 한국 기독교 중년 여성 내담자들에게 우울증 극복과 영적 성숙의 계기를 가져 올 수 있는 목회상담과 목회적 돌봄의 자원으로서 긍정적 가치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며 이 논문을 마칠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위기의 중년 기독교 여성들 :“나는 이제 내 삶을 살고 싶어요”
  1. 교회에서는 말할 수 없는 질병 이야기: 수치심의 근원으로서의 삶의 위기
  2. 중년 여성의 우울과 가부장적 억압의 영향
 III. 위기의 중년 기독교 여성의 치유를 위한 여성주의 목회 상담
  1. 수치심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자녀로 온 마음을 다하여 살기
  2. 관계 문화 치료의 취약성, 진정성, 상호성을 발휘하여 치유적 관계 만들기
  3. 자신의 가슴에서 우러나오는 나의 이야기, 나의 하나님이야기 시작하기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진숙 Kwon, Jin-Sook. 감리교신학대학교 외래교수 / 실천신학 / 목회상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