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대학 교양 체육수업에서 교수 피드백 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Feedback Types by Professors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and Self-Efficacy and Sport Continuance

송기현, 김승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nd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that exists between the feedback types by professors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and self-efficacy and sports continuance. Th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urvey physical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Greater Seoul Metropolitan Area. 309 samples were ultimately selected as valid samples.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fidelity of the whole model was assessed through this process and then the theory was tes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f the perceived feedbacks by the professor were complimentary/encouragement and performance knowledge/positive nonverbal feedbacks it had a positive effect. Negative nonverbal perceived feedback had a negative effect forecast. Secondly, complimentary/encouragement perceived feedbacks by the professor did not have a meaningful impact on sports continuance index. Performance knowledge/positive nonverbal feedback resulted in static effect while negative nonverbal feedback had a negative effect. Lastly, self-efficacy served a meaningful mediation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nonverbal feedback by the professor and sports continuan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 체육수업에서 교수 피드백 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피드백 유형과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교 3곳에서 교양체육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유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09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및 AMOS 18.0을 사용하여 전체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을 실시한 후 가설검 정을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교수 피드백 유형에서 격려/칭찬 피드백과 수행지식/긍정적 비언 어 피드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비언어 피드백은 자기효능감에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교수 피드백 유형의 격려/칭찬 피드백은 운동지속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행지식/긍정적 비언어 피드백은 정적으로, 부정적 비언어 피드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 피드백 유형의 부정적 비언어 피드백과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2.3 연구절차
  2.4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측정모델 평가
  3.2 구조모델 평가
  3.3 매개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송기현 Ki-Hyun Song. 단국대학교 체육교육과
  • 김승용 Seung-Yong Kim.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