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졸자의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과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graduates' job valu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김주은, 정갑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career preparedness and job satisfaction in college studying college graduates' job satisfaction after college gradua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919 valid data except for the insufficient data and missing data i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2016 college graduate career path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 and AMOS 24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value of college graduate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at is, the higher the job value of college graduate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value of the work affects more than the external value of the work. Second, the vocational value of college graduate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vocational value of the college graduate, the m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Especially, self - comprehension behavi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found to have more influence than occupational ability improvement behaviors and occupational world search behaviors. Thir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graduate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mor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self - comprehension behavi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ave more influence on externa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Four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In particular, self - understanding behaviors have a greater mediating effect than occupational skills improvement behaviors and occupational world search behavior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used as a factor to select job considering the factor of job satisfaction in career valu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company improves system to make job seekers feel job satisfaction I would like to use it. Many young people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should als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in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that it neglected that job value,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might differ depending on the job and sex in the study. In future studies, we will study various related fields us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job and sex. In addition, we want to expand the data to be available to all young people, not just college graduates. Finally, occup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ocial life. I do not want to be able to get a job for a lifetime throughmy short four-year college life, but I hope it will be something that I never lack in choosing a job for a lifetime.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을 졸업한 후 사회에 진출한 대졸자들의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대 졸자의 직업가치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졸자의 직업가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특 히 내재적 직업가치가 외재적 직업가치보다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졸자의 직업가치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여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졸자의 직업가치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이다. 특히 진로준비행동의 자기이해행동 이 직업능력향상행동, 직업세계탐색행동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졸자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준비행동을 더 많이 할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특히 진로준비행동의 자기이해행동이 직무만족의 외 재적 요인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넷째, 대졸자의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이해행동은 직업능력향상행동, 직업세계탐색행동 보다 매개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시사점은 직업가치, 진로준 비행동, 직무만족 관계를 이해하여 직무를 선택하는 요소로 활용하고, 기업은 구직자들이 직무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데 활용 하였으면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다른 변수들에 따라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 였다. 향후 연구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수를 사용하여 관련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짧은 4년 대학생활을 통해 평생직장은 구 할 수는 없겠지만 평생 직무를 선택하는데 부족하지 않는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직업가치
  2. 진로준비행동
  3. 직무만족
  4.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론
  1. 자료의 수집 및 표본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IV. 분석결과
  1. 기술통계분석
  2.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3. 측정모형분석
  4. 가설검증
 V. 결론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계획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주은 Kim, Ju-Eun.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외래교수
  • 정갑연 Jeong, Gap-Yeon.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BK21플러스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