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identity perceived by the emotional labor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esteem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 205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3 university in Jeollanam-do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fessional ident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self-esteem(r=0.366, p<0.01), negatively with emotional labor of clinical practice(r=-0.213, p<0.01). The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identity were satisfaction level with majors(β=0.434), self-esteem(β=0.236) and emotional labor of clinical practice(β =-0.199).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34.6% of professional identity. Therefore, to enhance professional identity in dental hygiene students, it is required to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satisfaction level of with majors, self-esteem and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of clinical practi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이 직업정체감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남지역에 소재한 대학 3개교에 재학 중인 치위생(학)과 학생 205명의 자료를 사용 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P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직업정체감은 양의 관계 (r=0.366, p<0.01)를 보였지만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직업정체감은 음의 관계(r=-0.213, p<0.01)로 나타났다. 치위생(학)과 학 생들의 직업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은 전공만족도(β=0.434), 자아존중감(β=0.236) 그리고 임상실습 감정노동(β =-0.199)이었다. 설명력은 34.6%의 영향력을 보였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직업정체감 향상을 위하여 전공 만족도 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감정노동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2.3 통계분석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임상실습 감정노동, 자아존중감, 직업정체감 정도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정체감 정도
3.4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 직업정체감의 상관관계
3.5 직업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