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율주행차 운영 환경하에서 통근자 출발시간 선택의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Exploring the influence of commuter’s variable departure time in autonomous driving car operation

김찬성, 진영근, 박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mmuter's departure time on transportation system in future traffic system operated autonomous vehicle using agent based model. Various scenarios have been set up, such as when all passenger choose a similar departure time, or if the passenger chooses a different departure time. Also,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road capacity. It was found that although many of the scenarios had been completed in a stable manner, many commuters were significantly coordinated at the desired departure tim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reduction in road capacity or in certain scenarios, it has been shown that, despite excessive schedule adjustments, many passengers are unable to commute before 9 o'clock.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raffic management and pricing policies are different from current ones in the era of autonomous car operation.

한국어

자율주행택시, 자율주행셔틀과 같은 새로운 교통서비스들에 대한 연구들이 전 세계적으로 여러 도시들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 현재 통행 수요는 출발시간이 고정적이라고 가정하고 기존 교통수단과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 효과 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기반 교통서비스 운영에서 통근자의 출발시간 조정에 따른 교통체계의 영향을 행위자기반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통행시간 선택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고 자율차를 수용할 수 있는 도로용량의 영향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근자가 원하는 출발시간에서 집에서의 활동종료시간과 출발시간이 상당히 조정된 후 시스템적으로 안정적인 통근통행이 완료되었으며, 또한 도로용량의 감소는 과도한 스케줄 조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통행자들이 9시 이전에 통근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현재와 다른 교통운영과 교통가격정책이 필요성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기존문헌검토
 3. 분석방법과 자료
  3.1 분석모형 설정
  3.2 사용된 자료
 4. 시나리오 설정과 분석결과
  4.1 시나리오 설정
  4.2 분석결과
 5. 결론과 정책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찬성 Chansung Kim. 한국교통연구원 스마트교통본부
  • 진영근 Young-Goun Jin. 충남도립대학교 컴퓨터정보과
  • 박지영 Jiyoung Park. 한국교통연구원 스마트교통본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