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쿠테이 바킨과 일본신화

원문정보

Kyokutei Bakin and Japanese myth

홍성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yokutei Bakin(曲亭馬琴)’s essays “Ensekizasshi(燕石雑志)” and “Gendouhougen(玄同放言)” contain contents related to Japanese myths. In “God of the Sun(日の神)” of “Ensekizasshi”, we unravel the question of scholar surrounding Amaterasu Omikami(天照大御神) and explain what kind of poetry and poetry of Chinese characters in mythology are like. In “Gendouhougen”, he ascertains Hiruko(蛭児) and Susanoo(素戔嗚) from the viewpoint of the celestial state, revealing his own views on the pronunciation of the name of God and correct kanji marking. In the process, Bakin features a quote from the Chinese literature, even though it describes Japanese mytholog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se of accepting the myth from “Nanso Satomi Hakkenden(南総里見八犬伝)” and “Chinsetsu Yumiharizuki(椿説弓張月)”, which is a work of Bakin’s Yomihon(読本), and used it for the narrative concept. In “Hakkenden”, the characters are named by “名詮自性”, and the stories are developed after the motifs in Panhu myth(槃瓠神話) and Oviparous myth(卵生神話). In addition, in “Yumiharizuki”, the sea god and the sea palace are used in the design of works according to the myth of Hikohohodeminomikoto(彦火火出見尊), and the Ototachibanahime(弟橘姫)’s scene of drown herself of the Yamatotakeru legend is taken as it is and story is being developed. Although Bakin’s mythical content interpretation does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the general interpretation, it can be seen that a special interpretation can be found, and it is confirmed that this interpretation is reflected in his work. B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essay and the contents of the work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essay analyzed and the mythical elements appearing in his work. And then we can understand that the contents of Japanese myth are implicitly used in his work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story development.

한국어

교쿠테이 바킨(曲亭馬琴)의 수필집 『엔세키잣시(燕石雑志)』와 『겐도호겐(玄同放言)』에는 일본신화와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엔세키잣시』의 「해의 신(日の神)」에서는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御神)를 둘러싼 학자의 의문을 풀고, 신화 속 한자의 독음과 훈독이 어떠한지를 설명하고 있다. 『겐도호겐』에서는 히루코(蛭児)와 스사노오(素戔嗚)를 천상(天象)의 관점에서 고증하고, 신명(神名)의 발음과 올바른 한자표기에 관한 독자적인 견해를 밝히고 있다. 그 과정에서 바킨은 일본신화를 설명하고 있음에도 중국문헌을 인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한편, 바킨의 요미혼 작품인 『난소 사토미 핫켄덴(南総里見八犬伝)』과 『진세쓰 유미하리즈키(椿説弓張月)』에서 신화를 받아들여 이야기 구상에 이용하거나 직접 인용한 사례가 보인다. 『핫켄덴』에서는 등장인물을 명전자성(名詮自性)으로 명명(命名)하고 반호신화(槃瓠神話)와 난생신화(卵生神話)에서 모티프를 따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 또한 『유미하리즈키』에서는 히코호호데미노미코토(彦火火出見尊) 신화에 따라 해신(海神)과 해궁(海宮)이 작품 구상에 이용되어 있고, 야마토타케루 전승에 등장하는 오토타치바나히메(弟橘姫)의 입수장면을 그대로 받아들여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 바킨의 신화 내용 해석이 일반적인 해석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일부분 특수한 해석을 찾아볼 수가 있으며 이러한 해석이 그의 작품에 반영이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수필과 작품 내용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분석된 수필 내용과 그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신화적 요소들을 결부시켜 고찰한다면 그의 작품 속에서 일본신화의 내용이 함축적으로 이용되어 이야기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어

曲亭馬琴の随筆『燕石雑志』と『玄同放言』には、日本神話に関する内容が収録されている。『燕石雑志』の「日の神」では、天照大御神を巡る学者らの疑問を解き、神話の内容における漢字の音読や訓読がどのようになされているかを説明している。『玄同放言』では、蛭児と素戔嗚を天象の観点から考証し、神名の発音と正しい漢字表記に関する独自の見解を示している。その過程で馬琴は、日本神話を説明しながら中国の文献を引用する特徴を見せている。 一方、馬琴の読本作品である『南総里見八犬伝』と『椿説弓張月』に、神話を取り入れ物語の構想に利用したり、神話を直接引用した事例がうかがえる。『八犬伝』では、登場人物を名詮自性で命名し、槃瓠神話と卵生神話をモチーフにした物語の展開が見られる。また、『弓張月』では、彦火火出見尊神話に拠って海神と海宮が作品の構想に用いられ、ヤマトタケルの伝承に登場する弟橘姫の入水の場面がそのまま取り入れられ物語が展開している。 馬琴の神話内容の解釈が一般的な解釈と大きな差を見せてはいないが、一部特殊な解釈を見て取ることができ、このような解釈が彼の作品に反映されていることを確認できた。このように随筆と作品の内容における相関関係を検討し、分析した随筆の内容と彼の作品の中に見える神話的要素を共に考察するならば、彼の作品の中に日本神話が含まれ、それが物語の展開において重要な役割を果たしていることが理解できるであろう。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바킨 수필집 속 신화
  Ⅱ-1. 『엔세키잣시』의 신화 관련 내용
  Ⅱ-2. 『겐도호겐』의 신화 관련 내용
 Ⅲ. 바킨 작품 속 신화
 Ⅳ.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홍성준 Hong Sungjoon.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일본근세문학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