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화 원리에 따른 지역교과서 지리영역 내용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regionalized textbooks' geography contents based on the principle of regionalization

김정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inciple of regionalization is particularly emphasiz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because it has the purpose of raising the effect of teaching-learning by using facts and phenomena to which the learner can have access in his or her daily lif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at handles social facts and phenomena and the educational meaning to enhance the personal relevance of the contents that has been disregarded practically in selecting process of the contents from the national level. Accordingly, the regionaliz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secondary principle for organizing contents which are close to learners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contents and the learners' daily lives. In this study, I have tried to re-conceptualize the concept of region in geography domai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regionalization principle. In short, I have considered it as a place that learners can perceive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suggest a new place-based organization of contents as a beginning of grasping the meaning of the region. A regionalized textbook has an intent to provide children with more relevant contents as a reality of the regionalization principl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get some suggestions for organizing geographic contents by analyzing regionalized textbooks' contents, based on the meaning of regionalized textbooks. I have analyzed those contents, making an overview of a whole region, not showing regional own characteristics, and covering general regions, not specific to the learner, etc. are not adequate. As a result, I have suggested the geography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under the principle of place-based and contents related to the learners‘ lived experience.

한국어

지역화 원리가 사회과에서 특히 강조되는 까닭은 사회적 사실과 현상을 다루는 사회과의 특성상 학습자의 생활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사상을 소재로 삼음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과 국가수준의 교육내용 선정과정에서 현실적으로 등한시되어온 교육내용의 학습자 적합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교육적인 의의를 담고 있다. 따라서 지역화는 학교 교육내용과 학습자들의 일상생활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을 좁힘으로써 학습자들의 삶의 맥락에 근접한 교육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부차적인 교육내용 구성원리로 보아야 한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역화 원리의 교육적인 맥락에 따라 사회과 지리영역에서의 지역을 재개념화하고자 하였다. 즉 지역의 규모와 성격을 아동들이 지각할 수 있는 구체성을 가진 규모인 장소로 보고, 지역 이해로 나아가기 위한 단초로서 장소를 중심으로 한 내용구성을 제안하였다. 지역교과서는 지역화 원리의 현실태로서, 아동들에게 보다 적합한 교육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래적인 취지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역교과서의 의의를 논의의 근거로 삼아 지역교과서 지리교육내용을 맥락적으로 분석하여 지리교육내용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역 전반을 개관하는 내용이나 지역적 특수성이 드러나지 않는 내용, 학습자가 속해 있는 지역이 아닌 객관적인 지역 학습내용 등을 지역화한 교육내용으로는 부적절한 것으로 분석하고, 이를 학습자의 생활경험과 관련되며 특정한 장소를 중심으로 한 내용으로 구성하도록 제언하였다.

목차

《내용 요약》
 I. 서론
 II. 지역교과서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
  1. 사회과 교육내용과 지역화
  2. 지역 개념에 대한 반성
  3. 분석기준 및 분석방법
 III. 지역교과서 지리영역 내용분석
  1. 아동의 생활세계와 동떨어진 내용
  2. 공적 지리에 치중된 내용
  3. 아동의 경험과 거리가 먼 내용
  4. 장소감을 형성하기 어려운 내용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아 Kim, Jeong-Ah. 대구파동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