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천경자화백의 작품을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Hair Art with Motif of Cheongyungja's Works

황춘희, 피수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wing to the pluralism in the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art and culture in the 21st century, there is a new culture breaking the boundary of genre. As customized-art, hair art is facing the material limitation of hair, and in order to overcome i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new design development and creativ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relevant books, literary data, and internet about hair art using paemobal, and also to pursue the artistic value and to create new values by analyzing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Cheongyungja's works though photos, sensuously combining the diverse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of hair art, and giving formativeness and visualizing with the motif of Cheongyungja's works in the artistic aspect using paemobal. Moreover, it aims to provide the diversity and specialties of works to the public as society and culture for commercialization as exhibition/educational materials. In the empirical research, analyzing Cheongyungja's works based on hair art using paemobal, total four works were produced, and the results are like below. Among Cheongyungja's works, in ‘Rain of Yellow Gold', a cold feeling was expressed by attaching hair just like wind blows hair and then sprinkling hair powder in gold, lemon, and white colors on it. It is the work expressing the dignity just like the queen of mother nature and a woman of flower. Among Cheongyungja's works, in ‘Sister Gille’, the woman's hair was decorated with flowers in rainbow colors. It is the work expressing the pure and clean image of a woman by sprinkling yellow hair powder on the whole screen. Among Cheongyungja's works, in ‘Dropping the Curtain’, to express Hawaiian native dancers, hair was attached to women's heads and then their heads and hands were decorated with flowers in red, yellow, orange, and purple colors. It is the work emphasizing the glamorousness and strong mood of women's face by evenly sprinkling yellow and green hair powder. Among Cheongyungja's works, in ‘the Subtropics’, the vase was decorated with various colored flowers symbolizing woman and the woman's head in the vase was attached with hair. It is the work expressing a woman in the vase with the feast of beautiful colors by sprinkling green and yellow hair powder. Just like the results above, hair art works with the motif of Cheongyungja's works were research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o produce works with the motif of some works by Cheongyungja. If more works are used for the motif, better results would be drawn in the future. On top of Cheongyungja's work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works with the motif of other artists' works. More researches on new and diverse hair art works would be helpful to the settlement of hair art as an art as it could be easily understood and commercialized by everyone including hair designers.

한국어

21세기는 예술문화가 상호보완적 관계로 다윈주의 현상이 일어나 장르의 경계가 해 체되는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부용예술인 헤어미용은 모발이라는 소재의 제 한적 한계에 부딪히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디자인 개발과 창의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폐 모발을 소재로 한 헤어아트에 대한 선행연구, 관련서적, 문헌자료, 인터넷을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고 사진을 통하여 천 경자 화백 작품의 이미지 특성을 분석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헤어아트 특성을 감각 적으로 조합하여 버려진 폐 모발을 소재로 미술적 측면에서 천경자화백의 작품을 모 티브로 조형성을 부여하고 시각화하여 예술 가치로서의 가치를 추구하고 새로운 가 치를 창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사회, 문화로서 대중들에게 작품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미용인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용화 할 수 있도록 전시회 및 교육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폐 모발을 소재 로 한 헤어아트를 기반으로 천 경자 화백 작품을 분석하여 총 4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Ⅰ ‘황금의 비’ 에서는 여인의 머리카락이 바람에 날리는 듯 머리카락을 붙이고 그 위에 금색과 레몬색, 흰색 칼라의 머리카락 가루를 뿌려 차가운 느낌을 표현하였 다. 꽃의 여인, 대자연의 여왕 같은 위엄을 표현한 작품이다. 작품 Ⅱ ‘길례언니’ 에서 는 여인의 머리위에 다양한 칼라의 꽃을 만들어 장식하였다. 화면 전체에 노란색 머 리카락 가루를 뿌려 부드러운 여인상으로 청순하고 맑은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이다. 작품 Ⅲ ‘막은 내리고’ 에서는 하와이 원주민 무용수들을 표현하기 위해 여인의 머리 에 머리카락을 붙이고 다양한 칼라의 꽃을 만들어 여인의 머리와 손에 장식하였다. 노란색과 녹색칼라의 머리카락 가루를 고루 뿌려 여성얼굴의 강렬한 분위기와 화려 함을 강조한 작품이다. 작품 Ⅳ ‘아열대’ 에서는 여성의 상징을 지니고 있는 다양한 칼라의 꽃을 만들어 화병위에 장식하고 화병속의 여인의 머리에는 머리카락을 붙였다. 초록색과 노란색 칼라의 머리카락 가루를 뿌려 아름다운 색체의 향연을 벌이고 있는 화병속의 여인을 표현한 작품이다. 이상과 같이 천 경자 화백 작품을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작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천경자화백의 일부 작품을 모티 브로 작품을 제작한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작품을 모티브로 다른 미술작가들의 작 품을 모티브로 한 작품이 요구되며 소재 및 새롭고 다양한 헤어아트 작품 연구가 이 루어진다면 미용인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용화 할 수 있으므로 헤어아 트가 예술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천 경자 화백에 대한 고찰
  2. 폐 모발에 대한 일반적 고찰
  3. 헤어아트의 개념과 표현방법
 Ⅲ. 천경자화백의 작품을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제작
  1. 작품재작 계획 및 작품재료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황춘희 Chun-Hee Whang. 엘림헤어샵 대표
  • 피수철 Su-Cheol Pi.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