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LED광원에 의한 회화 전색제의 변색 영향 연구

원문정보

Discoloration Effects of LEDs on Painting Binder Materials

김지원, 이유정, 김규린, 이화수, 강대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light artifact discoloration, priority must be given to the reactioncharacteristics of the light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product. In this study, we focus on two representative medium,animal glue and linseed oil which constitute the colored layer of the painting relics. This study is based on an accelerateddegradation test using two types of light emitting diods (LEDs) with different wavelength characteristics. In theexperiments, discoloration appeared markedly in the animal glue and linseed oil under accelerated aging test conditionsusing Blue LED. Among the two types of LEDs,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material was much higher with theBlue LED having the total radiation flux (mW). This indicates that the discoloration of painting artifacts such as animalglue and linseed oil is mo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otal radiation flux (mW) of the light source than the totalluminous flux (lm).

한국어

유물에 대한 조명의 변색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물을 구성하는 재질에 대한 빛의 반응특성을 우선 분석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화유물의 채색층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전색제인 동물성 아교와 린시드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파장 특성이 다른 White LED와 Blue LED 조명을 사용한 가속열화실험을 통해 변색 영향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동물성 아교 및 린시드유는 Blue LED 조명을 사용한 가속열화실험 조건에서 변색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두 종류의 LED 조명 중에서 전복사속(mW) 값이 큰 Blue LED에서 재질 변색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동물성 아교 및 린시드유 등 회화유물 전색제의 변색에 미치는 광원의 영향은 전광선속(lm)보다 전복사속(mW)이 주요하게 작용함을 파악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시편 제작
  2.2. 가속열화실험
  2.3. 평가
 3. 연구 결과
  3.1. 육안 관찰
  3.2. 분광 색차 측정
  3.3. 반사 투과 흡수율 측정
 4. 고찰
 5.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지원 Ji Won Kim.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이유정 Yu Jung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김규린 Kyu Lin Kim. 한국조명연구원
  • 이화수 Hwa Soo Lee.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강대일 Dai Ill Ka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