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analize the symbol of worm, flower and water in Ok Rhee’s literature, and to understand him more deeply. Firstly, it reveals the flower of Ok Rhee’s. He paid attention to the aesthetic feature of flower itself. People usually catch the beauty of flower in its scent and figure, but Ok Rhee found change and extinction in flower. His aesthetic experience from flower is an aesthetics of extinction. His feeling about beauty is based on his grief for extinction. Grief and transience, the feature of his writing style, is his fundamental feeling before his suffering of restoration policy. Next it reveals Ok Rhee’s worm. He had deep concern on worm. He had compassion on it and learned from it. Furthermore, he changed both’s position and considered that worm rebukes people. ‘Mul-A-Kyun-Si’(which means equal viewing self as things) is definition of his ontology. His position of equal viewing self as things is connected with his thought that self (I) and worm is the same in ontology. He placed the value of worm and people in the same place, considered small things preciously, tried to learn something from them. Finally it reveals the water of Ok Rhee’s. His water was of Noh-Ja. He was weak and quiet. This characters had him love the weak and quiet water of Noh-Ja’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 weakness and quietness of Noh-Ja’s water was those of women. It will more progressively be developed to study how to reveal his aesthetic sense, his deep insight of existance and relationship, his equal view and his flexible feeling in his works.
한국어
본고는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벌레, 꽃, 물의 표상을 분석하여 이옥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세계관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는 이옥의 꽃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은 꽃 자체의 미적 특질에 주목한 작가였다. 일반의 사람들이 꽃의 향기와 자태에 주목하는데 반해 이옥은 꽃에서 변화와 소멸을 발견했다. 그가 꽃에서 느끼는 미적 체험은 아름다움이 사라지는 소멸의 애상감이었다. 애상감과 무상성이라는 이옥 문체의 특질은 문체반정의 상처 이전에 이미 이옥 안에 내재한 근원적인 감수성이었다. 다음으로는 이옥의 벌레에 대해 살펴보았다. 존재와 관심의 층위에서 이옥은 벌레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 작가였다. 이옥은 벌레에게서 연민을 느끼고 배움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옥은 벌레와 인간의 처지를 역전시켜, 벌레가 인간의 어리석음을 질책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물아균시(物我均視)는 이옥의 사물 인식을 규정짓는 말이었다. 사물과 나를 균등하게 보는 입장은 나와 벌레는 존재론적으로 같다는 생각으로 심화되었다. 이옥은 벌레와 인간의 존재성을 나란히 놓음으로써 작은 존재들을 존중하고 이들에게서 무언가를 배우려 하였다. 다음으로는 이옥의 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이 사랑한 물은 노자(老子)의 물이었다. 이옥의 유약하고 조용한 성격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유약하고 고요한 노자의 물을 사랑하게끔 이끌었다. 노자의 물에 나타난 유약함과 고요함은 여성의 성질이기도 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옥의 감성이 여성적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옥이 사랑한 노자의 물을 통해 그 연관성을 확인했다. 이옥의 벌레, 꽃, 물의 표상을 통해 살핀 그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통찰, 차별 없는 시선, 유연한 감성이 작품에 어떤 방식으로 펼쳐지고 있는지를 계속해서 살펴갈 것이다.
목차
1. 문제제기
2.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사물의 표상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