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박재 문중에 전하는『회답사일기(回答使日記)』의 형성과 의의

원문정보

The Form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1607 Mission to Restore Diplomatic Relations Journal Passed Down by the Pak Chae Clan

구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k Chae went as vice envoy on the 1617 mission to restore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and the record allegedly written by him still exists in his clan presently. As the title page is labeled 1607 Mission to Restore Diplomatic Relations Journal, this study will refer to it as thus out of convenience. The journal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of which is a record of the 1607 mission and the second half is of the 1617 mission Pak also participated in. While the first half of the journal follows the structure of envoy records, it features “your subjects” as the subject and is written in the style of a report to the king. It is likely this format originates from the Ministry of Rites’ compilation of Record of Sea Voyages (Haehangnok, 海行錄).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half of the journal consists of reports of Chae’s dispatch as envoy and the official activities of his mission, quite similar to the format of Record of Previous Missions to Japan (T’ongsinsa tŭngnok, 通信使謄錄). This portion was not written by Pak, but compiled from official documents and extracts of the two missions he went on. It is highly likely the first half of the record was used to prepare for the second mission, and the latter half was used to write official reports or envoy records. Pak’s Journal of a Raft to the East (Tongsa ilgi, 東槎日記), while brief, leans more toward his personal experiences and contains many poems. It was difficult for him to actively fulfill the tasks of investigating the Japanese political situation and repatriating Korean hostages as envoy due to his personal circumstances. Thus, sources of Pak’s official activities such as the 1607 Mission to Restore Diplomatic Relations Journal were passed down among his clan members, and the editing of Pak’s records was distorted as his authorship.

한국어

박재는 1617년 회답겸쇄환사의 부사로서 일본에 사행을 다녀왔던 인물이다. 그의 문중에는 박재 저작의 사행록이라고 알려진 문헌이 현전한다. 내제는 “정미년회답사일기”라고 되어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편의상 『회답사일기』로 칭하기로 한다. 『회답사일기』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반부는 1607년 정미년 사행 관련 기록이고, 후반부는 박재가 참여한 1617년 정사년 사행 관련 기록이다. 정미년의 기록은 사행록의 체재를 따르고 있으나 “臣等”을 주어로 사용하여 상주하는 형식으로 되어있는 보고서이다. 이 부분은 예조 편찬의 『해행록』에서 연유했을 가능성이 크다. 반면 정사년의 기록은 박재의 사행 파견과 사행 도중 공식적인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장계와 계문들로 편집되어 있다. 『통신사등록』과 매우 유사한 편집 형태를 띠고 있다. 박재의 저작물이 아니라 두 차례 회답겸쇄환사의 파견과 관련된 공식적인 문건들이 초록, 편집되어 있는 것이다. 정미년 기록은 정사년 사행의 준비를 위해 필요했을 가능성이 크다. 정사년의 기록은 사행록이나 공식적인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수집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박재의 사행일기인 『동사일기(東槎日記)』는 간략하면서도 사적인 체험에 기울어져 있고 시문이 많이 보인다.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사신으로서 왜정을 탐색하고 포로 쇄환을 위해 적극적으로 임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재의 공식적인 활동을 알려줄 자료로서 박재의 문중에 회답사일기와 같은 기록물이 현전하게 되었고, 박재 편집이 박재 저작으로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회답사일기(回答使日記)』의 구성
 3. 『회답사일기(回答使日記)』의 의의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지현 Koo, Jea-hyoun. 선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