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글 제문에 나타난 여성의 애도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ourning in funeral oration of a Women's written in Korean

최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analysis is to analyze the mourning culture of women in the Hangul article. This study will examine what the women had about their identity and sorrow, and how they expressed it through the article. The mourning is a sentiment that allows us to break away and look at broken relationship problems and to be as fresh as possible from the relationships and partne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rough mourning, we will understand ourselves newly and understand the world. Among the articles written by the women, the most frequently written sentences about the father and the mother were adopted as the target texts. In a Hangul translation of a woman represented by her daughter, she expresses mourning by emotionally expressing the absence of a loved one. Second, I am mourning the deceased by objectifying sadness by repeated emotional bond and separation. Third, mourning is done through new self-relation and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se three characteristics are characteristic of female mourning shown in the Hangul woman's article. the mourner can experience crack and wound. In the process of mourning, all the suffering of the past is repeated. As a result, staying and resting in life is highly valued and rewards that endure mourning work.

한국어

이 글은 한글 여성 제문에 나타난 애도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여성이 작성한 한글 제문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작성된 친정아버지와 친정어머니에 대한 제문을 대상 텍스트로 삼았다. 즉 딸의 제문을 대상으로 한다. 딸로서 작성한 한글 제문에서는 부모님의 부재에 대한 감정을 분출함으로서 애도를 나타낸다. 원통하고 서럽고 원한이 깃든 슬픈 감정을 폭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태생으로부터 딸이라는 처지에서 비롯된 슬픔의 발로이다. 이러한 애도 감정은 딸들의 제문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은 고인과 감정적 유대와 분리를 반복하면서 슬픔을 객관화하여 고인을 애도 한다. 다양한 가족 관계 망 속에서 고인과 감정적 유대를 여전히 유지하거나, 사후 세계를 상정으로써 감정적 유대를 지속시킨다. 그러나 고인의 부재라는 현실 때문에 감정적 분리도 일어난다. 감정적 유대와 분리는 서로 길항하는 동시에 반복되고 있다. 끝으로, 딸의 제문에 나타난 애도의 특징은 자신과 세계의 새로운 관계 맺기를 통해 애도 작업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고인을 망각하지 않은 가운데 상실이 수용되고, 죽은 자와 관련되어 익숙했던 많은 삶들이 잊혀지고, 그 자리에 새로운 삶의 형태가 들어서는 것, 즉 세계와 자기 자신과의 관계가 새롭게 설정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의 세 가지 특징은 딸이 작성한 한글 여성 제문에 나타난 애도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한글 제문의 양상: 딸의 제문을 중심으로
 3. 한글 제문의 애도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윤희 Choi, YunHi. 경희대 국제캠퍼스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