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tax reform in Korea has aimed at improving the equality of tax for workers and business owners and the distribution of wealth. Unlike workers whose income is revealed with relative transparency, business owners are found to have a relatively law tax burden which relies on individual income report because of low taxable amount schedule.
Earned income deduction has been used to correct the tax inequality for income earners (business owners and workers) in an attempt to reform income tax, and that has led to the increase in the minimum taxable income of workers. Moreover, as a result of reduced tax schedule, the tax rate structure has 4 stages, beginning from 1996, a shift from a 16 staged tax rate structure. The reform of earned income tax rate that focuses on the expanded income deduction is blamed for the reduction of tax income, without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istribution of income for low income earners, because it resulted in weakening of the progressive tax system.
As the earned income tax reform was accompanied by the change to the tax rate system and the increase in the minimum taxable income in the wake of revision of various income deduction systems, it is considered that the effect of the tax structure on the progressiveness of tax has to be studied along with the effect of the deducted amount on the progressiveness of tax in order to strictly evaluate the effect of redistribution.
This paper evaluates how the progressiveness of tax has been progressed through tax schedule according to earned tax system from 1991 to 2004. Here, Hutton and Lambert (1980) model is used for the progressive tax estimation, which allows the progressive rate of income tax to be divided into a tax rate factor and a deduction factor
한국어
우리나라 소득 세제개혁은 소득 재분배 기능 강화와 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세부담 형평성 제고를 중요한 목표로 삼아 왔다. 소득이 비교적 투명하게 드러나는 근로자와는 달리, 과표양성화율이 낮아 개인의 신고소득에 의존하는 자영업자의 세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소득 세제 개혁에서는 소득간(자영․근로)의 세부담 불공평을 시정하는 수단으로 근로소득 공제가 사용 되었고, 그것은 근로소득자의 과세 최저한 금액의 상향으로 이어졌다. 또한 세율표의 축소화가 이루어져 16단계의 세율구조가 1996년부터 4단계로 되었다. 이러한 소득 공제확대 중심의 근로 소득 세제 개편은 누진도를 약화시켜 저소득층의 소득 재분배 효과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오히려 세수의 감소를 초래시킨다고 지적되고 있다. 근로 세제 개혁은 세율구조의 변화와 동시에 각종 소득 공제 제도의 개정에 따른 과세 최저한의 인상이 실시되었기 때문에, 재분배 효과를 보다 엄밀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세율구조가 누진도에 미치는 영향과 공제액의 정도가 누진도에 미치는 영향의 양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1991년부터 2004년까지의 기간에 대해 근로 소득세제에 의한 누진도가 세율표(Tax schedule) 구조를 통해 어떻게 추이해 왔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목차
Ⅱ. 모형과 자료
1. H - L모형
2. 소득계층별공제액이 다른 모형
3. 소득계층별소득증가율이 다른 모형
4. 모형의 계층별분해
5. 이용자료
Ⅲ. 누진도 추계와 해석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