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식민교육독법 : 백제-부여 내러티브의 조립과 주입

원문정보

Critical Readings on the Colonial Education of Korea : The Distortion and injection of the Baekje-Buyeo Narrative

박균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lonial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summarized as the process of the three main principles of the 3rd educational ordinance; The clarification of national polity, the unification of Japan and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endurance and discipline. It was a poisonous propaganda phrase for Japan to mobilize Korean youths and students for war. In other words, it was militarism that went to school and it was a slogan for death. The Baekje-Buyeo narrative of the day was also a task of assembling and injecting history in a way that emphasized the affinity between Baekje and Japan and the affinity of blood, all while segregating China and Korea. The construction of the Buyeo Shrine and the memorial service of Lee In-seok, the first deceased person who was mobilized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re typical examples. Joo Yo-han's and Kim Dong-hwan's is to decorate the praises of the Baekje-Buyeo narrative. The intention of calling the Baekje-Buyeo narrative was simple. In order to build the Honor of the Great Japanese Empire, it was aimed to demand the life of the Korean youths and students by emphasizing the affinity of blood with ancient historical ties. Through the Baekje-Buyeo narrative, colonial education had no other purpose other than to bring the Korean youths and students to the battlefield and demand their lives at that time. The completion of all the extensions was only possible after the death of Korean youths and students for Japan.

한국어

일제강점기의 제3차 조선교육령은 국체명징, 내선일체, 인고단련을 3대 교육강령으로 삼았다. 이를 교육강령이라고 말했지만 사실상 일본이 조선의 청년․학도를 전쟁에 동원하기 위한 독성 강한 선 전 문구였다. 메이지유신 이래의 군대와 학교의 관계를 형용하자면, 그것은 학교로 간 군국주의였고, 그 끝은 전쟁과 죽음이었다. 내선일체라는 제3차 조선교육령의 내선일체 이데올로기를 주입하기 위 한 방편의 하나로 내세운 것이 바로 백제-부여 내러티브였다. 당시의 백제-부여 내러티브는 중국과 조선의 분리를 도모하면서 백제와 일본의 인연과 피의 친연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역사를 조립하 고 주입하는 작업이기도 했다. 중일전쟁 발발 이후에 불거진 부여신궁의 건립, 그리고 중일전쟁에 동 원되었다가 첫 전사자가 되었던 이인석 상등병에 대한 추모 열기는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다. 이 인석 상등병을 소재로 한 주요한의 <첫 피: 지원병 이인석에게 줌>과 김동환의 <권군취천명>은 백제-부여 내러티브의 대미를 장식하는 것이었다. 일제강점자들이 백제와 부여에 관한 역사적 사실 을 왜곡하여 식민교육을 실시한 의도는 쉽게 간파할 수 있다. 고대사적 인연과 피의 친연성을 앞세 워 대일본제국의 신동아 건설을 위해 조선의 청년․학도의 목숨을 요구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백제 -부여 내러티브에 입각한 조선총독부의 식민교육은 조선의 청년․학도를 죽음의 전선에 내보내는 일, 그리하여 그들의 목숨을 요구하는 일 말고는 다른 목적이 없었다. 백제-부여 내러티브의 끝, 내선 일체의 완성이란 이렇게 조선의 청년․학도가 대일본제국을 위해 죽고 난 후에야 가능한 일이었다.

일본어

日本植民地時代の第3次朝鮮教育令は国体明徵、内鮮一体、忍苦鍛錬を3大教育 綱領にして植民教育のモットーとした。これは教育綱領と言ったが、事実上、日 本が朝鮮の青年・学徒を戦争に動員するための毒性の強い宣伝文句であった。明 治維新以来の軍隊と学校の関係を形容するなら、それは学校に行った軍国主義で あり、その末路は、戦争と死だった。第3次朝鮮教育令の内鮮一体イデオロギーを 注入するための手段として打ち出したのが百済-扶餘ナラティブであった。当時の 百済-扶餘ナラティブは、中国と朝鮮の分離を図りながら百済と日本の縁と血の親 緣性を強調するように、歴史を組み立てて注入する作業でもあった。中日戦争勃 発後に表面化した扶餘神宮の建設、そして中日戦争に動員されたが、最初の戦死 者となった李仁錫伍長の追悼の熱気は、代表的な事例として挙げられる。李仁錫 伍長を素材にした朱耀翰の<初めての血: 志願兵李仁錫にあげる>と金東煥の<勸 君就天命>は、百済-扶餘ナラティブの最後を飾るものであった。日帝強占者が 百済と扶餘に関する歴史的事実を歪曲して植民教育を実施した意図は、簡単に捕 捉することができる。古代史的因緣を前面に出して血の親緣性を強調すること で、大日本帝国の新東亜建設のために、朝鮮の青年․学徒の命を要求することを 目的とした。百済-扶餘ナラティブを前面に出した朝鮮総督府の植民教育は朝鮮の 青年․学徒を死の戰線に送ること、そして彼らの命を要求すること以外の他の目 的はなかった。百済-扶餘ナラティブの向かうところ、内鮮一体の完成というの は、このように朝鮮の青年․学徒が大日本帝国のために死んだ後に可能なことで あった。

목차

<요약>
 Ⅰ. 고대사의 호명과 식민교육
 Ⅱ. 부여신궁의 건립과 내선일체의 윤리적 귀결
 Ⅲ. 조선인 최초의 지원병 이인석의 전사와 천명
 Ⅳ. 논의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일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균섭 Park, Kyoon-Seop. 경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