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체육수업에 관한 기억 속에서 교육적 의미 찾기

원문정보

Searching for the Educational meaning in Memory of PE class.

배종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6th graders’s memory from their experience during recent 3 years in P.E classes. The 6th graders about to graduate have recalled the P.E classes thought by this researcher from March 1st, 2014 to February 28th, 2017. For data acquisition, I set interview guide based on open questionnaire, chose 6 students( 3 boys and 3 girls) who gave clear answer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 inductive process of transcription and generation of the subject through coding, and the authenticity of the data was enhanced through triangular verification, peer-to-peer consultation, and inter-peer review.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memories that students memorized could be classified as 'memory of success', 'teacher style', 'unique class', 'sad memories'. The memory of success was the experience of winning a task and winning a contest, and the teacher style contained a teacher’s systematic arrangement, large sound of whistle and teacher’s voice. The unique lessons included the unique experiences of the campsite, the memories of physical strength training gettiing a stamp on the wrist, and the difficult memories were stories of getting a scolding caused by quarrel among friends and of Being dropped in the beginning of the tournament. It is important to provide students with many experiences of success in class, and to minimize negative experiences. And also this stud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indirect teaching activities delivered by teachers' words and behavior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6학년의 3년간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기억하는 장면에 담긴 교육적인 의미를 탐색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졸업을 앞둔 기억초등학교(가명)의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와 함께 했 던 2014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의 수업을 회상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서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 지와 관련 문서를 수집하였다. 개방형 질문지를 바탕으로 면담 가이드를 정하고, 질문지를 성실하게 작성한 6명 (남:3, 여:3)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되어 코딩 작업을 통해 주제를 생성하는 귀납적인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으며, 삼각검증법, 동료간 협의, 구성원간 검토를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높 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이 기억하는 장면들은 ‘성공의 기억’, ‘교사 스타일’, ‘독특한 수업’, ‘부끄러운 기억’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성공의 기억은 주어진 과제를 성공했을 때와 대회에서 우승했던 경험을 들 수 있었고, 교사스타 일은 절도 있는 행동과 큰 호루라기 소리와 목소리 등을 담고 있었다. 독특한 수업은 야영장의 특이한 경험과 팔뚝 에 도장을 받으며 체력수업을 했던 기억을 담고 있었고 힘든 기억은 친구와의 다툼으로 꾸중 들은 기억과 대회에서 초반 탈락한 경험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학생들에게 성공의 경험을 수업 중에 많이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고 교사의 말과 행동으로 전달되는 간접교수활동의 중요성과 부정적인 경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의 배경과 연구자
  2. 연구참여자
  3. 자료수집 및 분석
  4. 자료의 진실성과 윤리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성공의 기억
  2. 교사 스타일
  3. 독특한 수업
  4. 부끄러운 기억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배종희 Bae, Jong-Hee. 경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