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stimation of Ignition Probability by Moisture Content of Floor Litters
초록
영어
As occurrences and the damages of forest fires increase in South Korea, fire preven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is research, for more effective prevention of forest fires, ignition probability by the moisture content of floor litters of four different tree species in Korea was estimat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The coniferous species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showed steeper decrease in ignition probability with increase of moisture content than the broad-leaf species (Quercus mongolica and Castaea crenata). The order of the moisture content of ignition probability at 50% (m50) was Pinus koraiensis (40.33%) > Quercus mongolica (46.89%) > Larix kaempferi (28.05%) > Castaea crenata (18.22%). The order of the moisture content when the ignition is succeeded (mmax) was Castaea crenata (49.54%) > Quercus mongolica (46.89%) > Pinus koraiensis (41.62%) > Larix kaempferi (39.41%). This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a useful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effect of moisture content of forest fuels on forest fire occurrence, and to enhance the accuracy of the fire danger forecast.
한국어
우리나라에는 매년 많은 산불이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른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산 불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산불은 자연적·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화된다. 이 연 구에서는 산불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낙엽의 수분 함량에 따른 발화확률을 산정하였다. 발화실험을 통하여 발화빈도를 측정하고,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 해 발화확률을 도출하였다.잣나무(Pinus koraiensis)와 낙엽송(Larix kaempferi) 등 침엽 수 낙엽이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와 밤나무(Castaea crenata) 등과 같은 활엽수 낙엽보다 수분함량 증가에 따라 급격하게 발화확률이 감소하였다. 발화확률이 50%일 때의 수분함량인 은 잣나무(40.33%), 신갈나무(29.56%), 낙엽송(28.05%), 밤나무 (18.22%)순으로 나타났고 발화가 성공했을 때에 최대 수분함량인 는 밤나무(49.54%), 신갈나무(46.89%), 잣나무(41.62%), 낙엽송(39.41%)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 는 산림연료 내 수분함량에 따른 산불의 발생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고 산불 의 확산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링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재료
2. 실험방법
3. 분석방법
결과
1. 수종별 발화확률식
2. 수종별 발화확률, m50과 m50의 비교
고찰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