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허성우 심우행의 윤리교육 함의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lication of Ethical Education in the Cow-Search Practice of Gyung-heo Sung-woo

김용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reatise is the aim to analyze the cow-search practice of Gyung-heo Sung-woo(鏡虛惺牛, 1846-1912). Most of the prominent philosophers have their own academic or philosophical topic. Gyung-heo Sung-woo’s Buddhist philosophy is like the topic of Won-hyo, Ji-nul, and Hue-jung. Gyung-heo Sung-woo’s integrated reality through the middle way, which is achieving realization by lighting up of reflecting-mind which is close observing. He considered the cow search practice by the recovering the origin of true mind which is closely observing. It is proved to be Mido-seon((尾塗禪)). Gyung-heo Sung-woo’s reflecting-mind in the cow-search practice corresponds to Won-hyo’s wholeheartedness mind, Ji-nul’s sincerity mind. The public common reflecting-mind and the private close observing joins the two sides. Mido-seon of Gyung-heo Sung-woo refers to the whole body’s way of the cow-search practice to save human beings beyond the head with a horn and chest in fur clothes hauls its tale. The realization of reflecting-mind with close observing shows us the reality of middle way. Gyung-heo Sung-woo’s reflecting-mind with close observing is continued publically to an action of bodhisattva of the cow-search practice. He made efforts to the middle way of doing for the sake of other people. The reflecting-mind of Gyung-heo Sung-woo can innovate the reality of middle way. The correlative linkage between reflecting-mind of Buddhist mind and close observing of the private creates the public-common value. The cow-search practice of Gyung-heo Sung-woo had contributed to activating the private to opening the public common through life-respect around the essential issues of public common convivialit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horizon of Mido-seon, it also concentrate on the middle way practice with others in Mahayana Buddhism as bodhisattva practice. It is the implication of ethical education. It would examine the social publicity and the evaluation of the cow-search practice in contemporary society, and would analyze the discursive morphology of human spirituality of true self.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w-search practice of Gyung-heo Sung-woo can be widely seen the face of realty of middle way. It has made the public common effort to the respect for other’s life, to the reconciliation with others.

한국어

이 글은 경허성우(鏡虛惺牛, 1846-1912) 심우행에 나타난 윤리교육 함의를 분석한 글이다. 경허성우는 체용불이(體用不二) 관점에서 공적 여래불심(如來佛心)으로 비추어 마음을 깨닫는 ‘조료(照了)’와 사적 개체로 정밀히 관찰하며 타자를 보살피는 ‘전정(專精)’의 상관연동으로 마음의 근원을 비추어 깨닫는 ‘조료심원(照了心源)’을 중시하였다. 따라서 공적 ‘조료’와 사적 ‘전정’으로서 마음근원을 비추는 ‘조심(照心)’의 미도선(尾塗禪)은 자리이타 보살행의 실천으로 공공가치를 일깨웠다고 할 것이다. 그가 20여년 가까이 보여준 역행(逆行)과 농세(弄世)의 만행은 많은 오해를 낳았지만, 다양한 불사(佛事)와 결사(結社)를 통해 대승불교의 외연을 넓힌 긍정적 측면을 바르게 살릴 필요가 있다. 경허성우는 대승불교의 자리이타를 구현하고자 조료(照了)와 전정(專精)을 함께 살려서 ‘소가 되고 말이 되어 밭을 갈고 짐을 나르는’ 피모대각(被毛戴角) 보살행으로 영성작용의 공공지평을 드러냈다. 경허성우의 심우행(尋牛行)에는 ‘참나’ 추구의 영성작용이 나타났다. 심우행의 영성작용 단계는 영성의 기화작용 단계, 자타상관의 이화작용 단계, 이류중행의 실화작용 단계 삼차원의 상관연동 구조를 드러낸다. 경허성우의 공적 조료와 사적 전정은 인간이 소와 말처럼 타자를 이롭게 하는 화광동진(和光同塵)의 이류중행(異類中行)으로 ‘근대선(近代禪)’을 새롭게 변모시킨 계기가 되었다. 이류중행(異類中行)은 타자를 위한 실천봉행으로 아집(我執)·법집(法執)의 차별상에서 벗어나 청정심의 영성을 이어주고 매개하고 있다. 따라서 윤리교육에 있어서도 감성·이성·의지를 이어주고 매개하여 자아중심에서 벗어나는 영성추구의 윤리목표와 중도실천의 덕행과제를 윤리교육 수업 현장에서 살려냄으로써, 생명체의 괴로움을 줄이고 즐거움을 늘이는 발고여락(拔苦與樂)·중도이치로 자유롭게 융화하는 회호완전(回互宛轉), 그리고 현상과 본질을 함께 궁구하여 일상으로 체화하는 사리쌍명(事理雙明)의 중도실천의 윤리교육 함의를 발견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심우행의 이류중행 가치
  1. 심우행의 이류중행
  2. 이류중행의 가치
 Ⅲ. 심우행의 영성작용 단계
  1. 기화작용 단계
  2. 이화작용 단계
  3. 실화작용 단계
 Ⅳ. 심우행의 윤리교육 함의
  1. 영성추구의 목표설정
  2. 중도실천의 덕행과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용환 Kim, Yong-Hwan. 충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