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三光寺極樂往生圖에 대한 佛敎民俗學的 硏究

원문정보

A case Study of Reincarnation Murals in Samkwangsa temple

삼광사극락왕생도에 대한 불교민속학적 연구

曺銘鮮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case study, I analyzed a relationship between reincarnation mural of Busan-shi Busanjin-gu Choeup-dong Samkwangsa temple and the three pure land sutras which was important scriptures of Amitabha Pure Land faith. In addition, I also analyzed folk elements which are attached to wall paintings from a folkloric viewpoint. We can find that teaching of the three pure land sutras in painting walls of Amitabha Pure Land faith, and in addition, we also find that spirits of people who believe in reincarnation in the walls. Therefore, when you analyze walls which are related to the three pure land sutras, you should pay attention to folkloric aspect not only Buddhist aspect. In this case study, I analyzed reincarnation mural of Samkwangsa temple and Amitabha related scriptures by folkloric aspect and Buddhism aspect. I referred to Zyoudosanbukyou written by Nakamura Hajime when I examined forty-eight vow of Dharmakara Bodhisattva, self-born on the lotous flower, self-born in the lotous bud, Three Grades of birth in the Pure Land, and nine grades of birth in the Pure Land by Buddism aspect. Regarding of folkloric aspect, I visited Busan-shi Busanjin-gu Choeup-dong Samkwangsa temple, and conducted a fieldwork to find out the folk elements of the walls. First, I conducted a research of the walls in Samkwangsa temple, and then I had an interview with staffs of the temple and believers of the religion. Through interviewing of a Buddhist painter of the wall, I found out that subjective view of the painter had big influence on the design of the wall. I also heard view of religion and reincarnation of the painter. As a result of my analysis, I found out three results. First, in paintings of nine grades of birth in the Pure Land, a certain part was painted emphatically. The sutra of Visualization of the Buddha of Measureless Life of nine grades of birth in the Pure Land was composed by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However, only part of development and turn were emphasized even though part of introduction and conclusion we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whole story. Second, I found that folk belief in Korea and tradition of Mahayana Buddhism in China which were not related to Amitabha Pure Land faith were also painted to the wall. Third, subjective view of the painter toward religion and reincarnation had an influence on the design of the works. To conclude, I foun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 between walls and the three pure land sutras. However, I should consider about inheritance of tradition in Buddhist paintings. These paintings were made by reinterpret of folklore, and these were very important material to Buddhist folklore. By a view point of Buddhist folklore, to understand what painters wanted to tell is important not only story of scripture because by reinterpretation of folklore, changes of Buddhist culture is one of important traditional culture from a Buddhist folklore aspect.

한국어

본고에서는 부산시 부산진구 초읍동 삼광사의 극락왕생도와 아미타정토신앙의 중요경전인 정토삼부경의 상관성을 밝히고 나아가 불교민속학적인 관점에서 벽화에 부착되어 있는 민속성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미타정토관련 벽화는 아미타정토왕생의 성취를 위해 실천해야하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이 담긴 정토삼부경의 불교논리에 더해 아미타정토에서의 왕생을 기원하는 신자와 망자의 유족, 공덕주 그리고 그림을 그린 화공 등 민속의 심의가 습합되어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토삼부경에 관련한 벽화를 연구할 때에는 불교의 관점뿐 만 아니라 민속의 관점도 대등하게 고려하여 불교민속의 정승양태를 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고는 삼광사의 극락왕생도와 관련경전을 중심으로 불교와 민속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전자에서는 나카무라의 역주본 '정토삼부경'(상하)를 저본으로 삼아 중요개념 즉, 법장보살의 사십팔서원, 연화화생, 연화태생, 삼배왕생, 구품왕생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후자에서는 부산시 부산진구 초읍동 삼광사를 찾아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벽화에 부착되어 있는 민속성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먼저 해당 벽화를 조사하고 종무소 관계자와 신자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가졌다. 그리고 화공과의 대담을 통해 극락왕생관련 벽화의 구상과 완성에 이르기까지 화공의 주관과 판단이 크게 반영된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그의 종교관과 극락왕생에 대한 견해를 들을 수 있었다. 삼광사 극락왕생도의 특징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구품왕생도의 경우 관무량수경의 구품왕생은 기승전결로 구성되어 있으나 벽화에는 승과 전에 해당하는 부분만이 특히 강조되어 있다. 그리고 인도로 부터 전해진 아미타정토신앙과는 무관한 한국의 민속신앙과 중국의 대승불교적인 전통이 혼입된 사실이다. 또한 불교민속의 전개과정에서 화공의 비중이 크게 차지한 점도 빠트릴 수 없다. 이상, 벽화에서는 정토삼부경이 전하는 내용과 상이하거나 첨삭된 부분이 다소 확인되었다. 거기에는 불화세계의 전통계승 또는 답습이라는 사정도 한몫했을 것이다. 또한 벽화제작의 주체가 된 화공과 사찰측, 즉 민속의 재해석에 따른 불교문화의 변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민속에 의한 불교문화의 변이도 불교민속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중요한 전통문화임에 틀림없다. 아미타정토신앙은 동북아시아, 즉 대승불교문화권을 중심으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각 나라 및 지역의 고유한 문화와 특수성이 개입되었으며 아미타정토관련 벽화 역시 그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점을 감안한다면 향후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비교문화연구도 충분히 기대되는 바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無量壽經과 極樂往生圖
 Ⅲ. 觀無量壽經과 九品往生圖
 Ⅳ. 阿彌陀經과 極樂往生圖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曺銘鮮 조명선. 일본 아이치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