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만주어 언어교체(소멸)의 역사적 과정 및 원인 분석 試論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historic process and the causes of the Manchurian language shift (extinction)

정재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nchu language was merely a language of local ethnic minority in Manchuria before 17th century. However, after entering the Sanhaiguan Gate(山海關) in 1644, the language became the national language(國語) and a international diplomatese of the Qing Empire which conquered mainland China and dominated East Asia. As many emperors and the Qing Court actively enforced various language policies to maintain and proliferate the Manchu language, it institutionally enjoyed the highest status of ‘supreme language’ in the Empire. After passing the short golden time of the Manchu language, however, it gradually turned into an ‘inferior language’ in language competition with Chinese, by the way of ‘bilingualism’, since early 18th century, depending on the sinicization(漢化) of the Manchus in all spheres of life under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Entering 19th century, the Manchu language faded away in earnest among the Manchurian community, even in the Qing royal court. The dissipating tendency of the Manchurian language, in general, had appeared regionally, from south to north, and hierarchically from the lower class of Banner people(旗人) to the upper class, including middle echelon, aristocracy and royal family in final. As a result of the Xinhai Revolution(辛亥革命), the Qing dynasty collapsed in 1912 and the Machus disguised their unfavorable origins as Han people(漢族) and hesitated to use their ethnic language under the long-lasted and widespread anti-Manchurian sentiment. With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policy in 1978, status of ethnic minorities and their languages in the Mainland was rehabilitated, but the Manchu language has now been ostraized by all age group of the Manchu people speaking Chinese as mother tongue or first language in almost all areas except precious few old generation in rural regions of Heilongjiang Province(黑龍江省) and the Xibo minority(錫伯族) in Xinjiang(新疆) Autonomous district. It could be said that the Manchurian language now becomes a kind of fossil language. The Manchurian language shift (extinction) over approximately 4 hundreds years from late 16th century to today has mainly been caused by external factors of the speech community in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areas, and internal factor of the speech community which is a language attitude(low 'language loyalty') to their ethnic language of the Manchus as well as linguistic inferiority of the language which could not properly accommodate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etc.

한국어

17세기 이전 일개 소수민족의 종족언어에 불과하던 만주어는 1644년 만주족의 山海關 入關 이후 세계적인 다민족 帝國으로 발전한 淸의 ‘國語’이자 국제 외교언어가 되어 중국내 ‘최상층 언어’로서 높은 위상을 과시하였으며, 역대 청 황제와 중앙조정은 만주어 보존 및 사용 장려를 위한 다양한 언어정책을 적극 시행하였다. 청대 초기 山海關 以南 지역으로 대거 이주한 만주족은 피통치계층인 漢族의 언어인 漢語에 익숙하지 않아 통치상의 어려움을 겪었지만, 불과 한 세대 만인 康熙 연간(1661-1722)에 만주어와 漢語를 병용하는 ‘이중 언어’ 단계에 도달하였다. 하지만 이를 정점으로 만주족이 漢文化 영향 등으로 점차 漢化되어가면서, 만주어는 漢語와의 언어경쟁에서 밀려 ‘약세 언어’로 전락하여 만주족조차 점차 사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마침내 청 말기에 ‘滿文 폐지령’(1902)이 내려졌다. 만주어 소멸 추세는 대체로 지역적으로 남방에서 북방으로, 계층적으로 하층 旗人에서 관원 등 중간관리층을 거쳐 최고통치계층인 귀족․황실 순으로 진행되었다. 辛亥革命(1911) 결과 청이 멸망하면서 당시 만연했던 反滿정서 등으로 인해 만주어 사용은 더욱 위축되었다. 개혁개방(1978) 이후 중국내 소수민족 및 소수민족 언어 위상은 회복되었지만, 오늘날 만주어는 일부 벽지의 만주족 노인 세대 극소수와 新疆지역 시버족만이 사용할 뿐, 만주족은 漢語를 母語 내지 제1언어로 사용하고 있기에, 사실상 소멸된 ‘化石 언어’가 되었다. 세계 언어사의 대표적 ‘언어교체’ 사례로서, 16세기 말부터 약 4세기에 걸친 만주어 소멸의 주요 원인은 정치․경제․문화적 경쟁력 부족 및 인구 경쟁력 부족 등과 같은 언어집단의 외적 요인들, 그리고 내부적으로 민족언어에 대한 만주족 자신의 낮은 ‘언어 충성도’와 함께, 사회발전 등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운 만주어 자체의 언어적 한계 등이 크게 작용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만주어 언어상황 변천 과정
  1. 만주족의 山海關 入關 이전
  2. 청 入關 이후 멸망까지
  3. 辛亥革命 전후부터 개혁개방까지
  4. 개혁개방 이후 최근까지 : 만주어 소멸위기 단계
 III. 만주어 언어교체(소멸)의 주요원인 분석
  1. 언어집단의 외적 요인
  2. 언어집단의 내적 요인 : 만주족의 ‘언어 태도’(낮은 ‘언어충성도’)
  3. 언어 자체 요인 : 만주어의 언어적 한계
 IV. 맺음말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정재남 Chung, Jae-nam. 현임 駐武漢대한민국총영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