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상적 삼킴기법이 목뿔위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Compensatory Swallowing Strategies on Submental Muscle Activation

오종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nagement of the pharyngeal phase dysphagia mainly consists of two kinds of approaches. One is the application of a variety of maneuvers so as to intensify swallowing-related muscles, and the other is postural control of the neck and the head. Despite their common use in clinics and multiple studies having been conducted with regards to the effects of various swallowing maneuvers and postural techniques on swallowing physiology, the effect of these tasks on the hyolaryngeal musculature has not been clearly understoo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level of suprahyoid muscles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while performing various compensatory swallowing strategies. Suprahyoid muscle activity during compensatory swallowing strategies were recorded in 27 adult volunteers (18 women). Surface wireless EMG electrodes were placed on the skin on both sides of the midline under the chin with an electrode distance of 1cm to record the activity of suprahyoid muscles while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tasks. Each activity was recorded three times. Repeated-measures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ximum sEMG value of chin 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control swallowing (p < 0.008). This finding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certain compensatory swallowing strategies could impose a greater burden on the dysphagic patients’ hyolaryngeal musculature during swallowing. This overloading could cause fatigue if the tasks are sustained for a longer time.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is supposition.

한국어

인두기 삼킴장애에 대한 중재는 크게 두 가지 접근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다양한 기법(maneuver)을 적용하 여 삼킴과 관련된 근육의 활동을 강화시키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머리와 목의 자세를 조절하여 안전한 삼킴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삼킴기법과 자세기법들이 삼킴 생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연구들에서 이루어지고 임상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기법들이 목뿔위근육에 신경생리학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아직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 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성인이 다양한 보상적 삼킴전략을 수행하는 동안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여 목뿔위근육의 활성화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27명의 정상 성인(여자 18명, 남자 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총 7가지의 삼킴 과제를 수행하 는 동안 턱밑에 위치한 목뿔위근육들의 활성도를 기록하기 위하여 무선 근전도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정상삼킴과 비교시 근활성도에 현저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measures ANOVAs)을 시행하 였다. 머리 젖히고 삼킴시 정상삼킴과 비교시 최대 근활성도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p<.008). 이러한 결과는 삼킴장애 환자들에게 적용되는 특정 보상전략이 식사중 환자의 목뿔위근육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환자 에게 피로를 유발할 것이며 이러한 추정을 입증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실험과정
  2.3 근전도 측정
  2.4 통계분석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오종치 Jong-Chi Oh.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