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 논문

일본과 한국에서의 ‘실학’의 근대화

원문정보

Modernization of ‘Silhak’ (Practical Learning) in Japan and Korea

사사키 슌스케, 카타오카 류, 조성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heme of this paper focuses on the modernization of Silhak in Japan and Korea. The subjects of discussion are Fukujawa Yukichi (1834-1901) in Japan, and Lee Neung-hwa (1869-1943) in Korea. Japan and Korea similarly experienced the introduction to Western civilization in earnest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Compared to the existing world view that prevailed in East Asia, a new and strange world view that originated from Western civilization suddenly appeared. When thinking about the theme of the modernization of Silhak, we should be attentive to the issue of how a new world view was established against the backdrop of an existing world view. Because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modernization means not only the modernization brought about by the influence of Western civilization, but also the indigenous modernization that might have progress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If the conclusion is announced in advance, it can be stated as follows. Fukujawa Yukichi separated himself from the existing world view that prevailed in East Asia, and embraced the mechanistic world view that stemmed from the birth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West. On the other hand, Lee Neung-hwa inherited those attitudes based on documental archaeology and eclectic study that Silhak in East Asia featured, and at the same time was able to make sense of Western civilization that he came into contact with. To Fukujawa Yukichi, who embraced the mechanistic world view, Silhak meant just a ‘science.’ The science he meant was general ‘science’ that included not only the natural science of today, but also social science and humanistic science, and the model was physics. In this world view that can be said to adopt a mechanical view of nature that had originated from Rene Descartes, nature existed as an object that is to be manipulated by human beings. And the operating principle was based on physics. Fukujawa comprehended civilization as a science based on such a mechanistic view of nature and its practical development. Seen from this view point, it was not necessary to look back on the existing East Asian science and world view. In addition, in Fukujawa’s understanding about Silhak, as well as with regard to existing learning such as Confucianism and national study, religions such as Christianity did not have an active meaning or relevance. This was because they only possessed value as a tool to maintain the social order. Lee Neung-hwa, who was born one generation later than Fukujawa, can be named as someone who represents the beginning period of Silhak study in modern Korea. Lee Neung-hwa thought that, as the Godism (Sin’gyo) of Ancient Joseon had gone through a transformation into diverse gods, the spiritual basis had been prepared among the public to accept Christianity, and, furthermore, Christianity had developed into the theory of ‘mind and body’ of Buddhism. So taking the Buddhism as the pinnacle, all religions wer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reaching Buddhism. Practically, Lee Neung-hwa collected and arranged all religious materials with the attitude of seeking to incorporate and penetrate all religions. In addition, he was disposed to highly regard the medical practices of ancient Godism, and further understood the theory of four types,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body and mind could be invented due to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medicine of ancient Godism. This attitude of Lee Neung-hwa can be compared to the attitude of Fukujawa regarding modernization.

한국어

이 글은 일본과 한국에서의 ‘실학’의 근대화를 주제로 한다. 고찰의 대상으로 일본에서는 후 쿠자와 유키치(1834-1901)를, 한국에서는 이능화(1869-1943)를 다룬다. 19세기 후반에서 20 세기에 걸쳐 일본과 한국은 본격적인 서양 문명 도 입의 시기를 맞이하였다. 기존의 동아시아적 세계관에 대해 새롭게 서양 문명에 유래하는 세계관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실학’의 근대화라는 주제를 생각할 경우 에, 지금까지의 세계관에 대해 새로운 세계관이 어떻게 자리매김 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 글에서 '근대화' 개념은 서양 문명의 영 향에 의한 근대화(서양근대화)뿐만 아니라, 서양문명의 유입 이전에 이미 진행되고 있었을 근대화(토착적 근대화)도 의미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을 미리 말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종래의 동 아시아 적 세계관과 결별하고 서양의 과학사상에서 태어난 기계론적 세계관에 기 초하였다. 한편 이능화는 동아시아에서의 ‘실학’의 고증학적·절충학적 태도를 계 승하면서 새롭게 접촉한 서양문명을 의미지었다고 할 수 있다. 기계론적 세계관을 껴안게 되는 후쿠자와 유키치에게 있어서 '실학'은 단적으로 ‘science’ 를 의미하였다. 이때 ‘science’는 오늘날 말하는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이나 인문 과학까지 포함한 ‘학문’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그 모델은 물리학이었다. 데카르트에서 유래하는 기계론적 자연관이라고도 할 수 있 는 이러한 세계관에서, 자연은 인간에 의해 조작되기만 하는 대상으로 존재했다. 그리고 조작할 때의 원칙이 되어야 하는 것은 물리학이었다. 후쿠자와는 이와 같 은 기계적 자연관에 기초한 학문과 그것의 실용적 전개로 문명을 파악하였다. 그 런 관점에서 보면, 종래의 동아시아 학문이나 세계관은 돌아볼 필요가 없는 것이 었다. 아울러 후쿠자와의 '실학' 이해에서는 유학이나 국학과 같은 지금까지의 학 문뿐만 아니라 기독교와 같은 종교도 적극적인 의의가 주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그것들에는 단순히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가치 밖에 부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후쿠자와보다 한 세대 후의 이능화는 근대 한국에서의 ‘실학’ 연구의 태동기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으로 꼽을 수 있다. 이능화는 고대 조선의 신교(神敎)가 ‘잡신교(雜神敎)’화를 거침으로써 기독교를 수용하는 정신적 토양이 민중 속에 들 어 있었고, 나아가서 기독교는 불교의 ‘심신’론으로 전개된다고 생각하였다. 불교 를 정점으로 하면서도 모든 종교를 거기에 이르는 과정으로 의미지운 것이다. 이 능화는 실제로 ‘백교회통(百敎會通)’하는 자세로 모든 종교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 리하였다. 또한 이능화는 고대 신교(神敎)에서의 의약(醫藥) 중시에 주목하고, 그 것의 발전과정 속에서 사상학설(四象學說)과 같은 새로운 심신의학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이능화의 태도는 후쿠자와에서의 근대화 문제와 대조를 보이고 있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시작하며
 Ⅱ. 후쿠자와 유키치의 ‘실학’
 Ⅲ. 이능화의 ‘실학’
 Ⅳ. 맺으며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사사키 슌스케 Sasaki Shunske. 토호쿠(東北)대학대학원 문학연구과 박사과정
  • 카타오카 류 Kataoka Ryu. 토호쿠대학교
  • 조성환 원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