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전통과 근대’를 다시 묻는 진리 파악(satyāgraha) ― 병든 서구적 모더니티의 말로에 즈음하여 ―

원문정보

Satyāgraha (Insisting on Truth) to Reexamine ‘Tradition and Modernity’ ― On the End of Western Modernity Which Is Seriously Sick

이타가키 유조, 조성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paper presented as the text of a keynote lecture on the occasion of the academic conference "Modernization Process of Korean-Japanese Traditional Thought under Critical Reflections" organized by the Wonkwang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Religious Affairs. Accordingly, the emphasis is placed upon tracing the author’s personal pathways to construct and develop his critical discourse as regards the problem of "being traditional and being modern" throughout nearly 70 years of his continuous research activity for innovative elucidation. Whereas the theory of modernity is concerned with the broader view of history, civilizational strategy design, and a paradigmatic review of ways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concerned researchers seek to make known that a spontaneous intuition or inspiration in daily life can make sense qualitatively enough to produce an invention. Therefore, the paper introduces, besides the informational data of research materials, methods, and results, some factual images of accidentally trivial but noteworthy events and observations specifically relevant to motivation of interest, hint of ideas, and correlation among specialists’ circles. In this paper, Part I: "Tradition to open Modernity, a Cas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formation of the philosophy and behavior of Satyāgraha as a human rights struggle fought by Indian residents in South Africa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as based on the ethical norms of ancient India, and that the residing Indian Muslims’ prominently active participation in it and their active role to support Mahatma Gandhi’s guidance enhanced further the universal significance of modernity in the movement. Part Ⅱ: "World History Scheme of Traditional Modernity in Future Design" tries to confirm that the core of the ‘modernity’ problem consists in what the author calls ‘Super-modernity’ based upon tawhīd, a networking way of thinking, and its socialization and globalization process since the 7th century, which has been recognized, along with the author’s career and his concern in progress, on such bases as (1) the study on Islamic modernity initiated as a critique of Western modernity, (2) a diagnosis of Western modernity’s malignant tumor that took root in the course of modernity’s formation under the networking effect of Islamic civilization, having been spread worldwide and bringing on the actual death agony of the Euramarico- centered world order, (3) proof finding works regarding common logic and task consciousness between Huayan (Hwaeom) Buddhism, Neo-Confucianism and Islam. Thus, the new era of Super-modernity (including the societies of Europe and the USA, of course) is emerging after the recent 300 to 400 years’ marginalization, submergence, subversion, and perseverance under the yoke of the unhealthy Western hegemony that prevails worldwide. Its sign is the start of Muwātin Revolution (New Citizens’ Revolution; muwātin is an Arabic word for citizen) in 2011, that was a globalized phenomenon of non-violent uprisings by satyāgrahī citizens. In the final analysis, the author arrives at the conclusion that human beings should be aware of the urgent task to revive and revitalize Super-modernity by excavating and rediscovering Super-modernity in the depth of Tradition. Although this paper is, as mentioned earlier, a survey of the trajectory of the author's researches, the original work points to be publicized for the first time here are the following four items: 1) Evaluation of Muslims’ role in Satyāgraha Movement in South Africa. 2) Comprehensive enumeration and listing of Issue-items in (a) Islamic modernity; (b) Syndrome of Western modernity; (c) Features of transversal commonalities between Huayan philosophy and Islamic tawhid; (d) Features of mutual resonance between Neo-Confucianism and Islamic tawhīd. 3) Proposition of a theoretical scheme that the posture of resistance anchored in traditional thought resources on hand to fight against imperialist colonialism tends to resort to the rebirth of Super-modernity. 4)Proposal of a project framework called "Normative Future History."

한국어

이 글은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학술대회 ‘한일전통사상의 근대화과정과 비판적 성찰’에서 행한 기조 강연으로. 논자가 지난 70여년 가까이 ‘전통과 근대 성’ 문제를 둘러싸고 비판적인 고찰을 거듭해 온 여정을 정리해서 제시하고자 하 는 데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대국적인 역사관, 패러다임(문제 제기 방식과 대답 방식), 문명 전략 구상’에 관 한 근대성론에서는 연구자의 주체적인 생활 감각이나 통찰의 기회가 문제시되므 로, 연구의 자료나 방법이나 성과뿐만 아니라 관심의 동기부여, 착상의 힌트, 연구자의 배치와 교류 등, 우연한 작은 사건이나 관찰도 구체적으로 다루어 소개하 였다. ‘I. 근대를 여는 전통에 대해 고찰하기 위하여’에서는 20세기 초의 남아프리카 에서 재류 인도인을 중심으로 하는 인권투쟁 = 사티아그라하의 이념 및 행동의 형성에서 고대 인도의 윤리규범이 그 토대가 되었고, 간디의 참가 및 지도에 이르 는 인연을 포함하여 재류 인도인 무슬림의 두드러진 적극적 역할이 그 운동에 구 비된 근대성의 보편적 의의를 고양시켰음을 논하고, ‘Ⅱ. ‘전통과 근대’의 세계사 구상과 미래 설계’에서는 논자의 연구관심과 연구경로에 따라서 서구적 근대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된 이슬람적 근대에의 사색으로부터, 그리고 이슬람문명의 네 트워킹 하에서 촉발된 서구 근대성이 일으킨 병인(病因: 이것이 서구중심의 세계 질서의 단말마라고 할 수 있는 현재를 일으키고 있다)의 고찰로부터, 아울러 동방 의 화엄사상・성리학과 서방의 이슬람에서 보이는 논리 및 지향성의 공통 기반의 검증으로부터, 7세기 이래의 타우히드적・다즉일(多卽一)적 사고의 사회화로서 의 ‘초근대성’(Super- modernity)과 그 네트워크화적 글로벌리즘의 전개야말로 ‘근대성’ 문제의 축이라는 사실이 확인되는데, 병인을 초래한 서구적 근대의 근 3-400년 동안의 패권 하에 세계 여러 지역(서구를 포함해서)의 전통 속에 있던 초근대성이 잠복상태나 수면화를 강요받아 온 과정을 깨트리는 시기가 찾아오고 있는 징조로서, 2011년 사티아그라하 비폭력적 시민결기가 세계적으로 분출하는 ‘무와틴혁명’(신시민혁명) 시대가 개막된 것, ‘초근대성’의 부흥・활성화・신생 (新生)이 인류적 과제임이 자각되어야 한다는 것, 그런 의미에서 ‘전통’ 속의 ‘초 근대성’의 발굴・재발현이 급선무라는 것 등을 논했다.  이 글에서는 논자의 연구의 궤적을 추적하는 것이 기조가 되어 있는데, 여기에 서 처음으로 세상에 내놓는 오리지널한 작업 결과로서는 다음의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1) ‘Ⅰ’의 남아프리카에서 사티아그라하를 담당한 무슬림의 역할에 대한 평가, 2)‘이슬람의 근대성’론에 있어서의 문제들, 유럽 내지는 서구의 근대성 병인의 증상 들, 화엄 사상과 타우히드의 근원적 공통점의 모습들, 이슬람과 성리학(송학) 사 이의 공진 공명(共振共鳴)의 모습들의 정리 및 열거, 3) 제국주의・식민지주의에 대한 저항을 뒷받침하는 전통적 사상자원을 가지고 자립적 근대성을 획득・실현 시키고자 하는 투쟁이 자연히 초근대의 재생으로 이어지는 구도의 제시, 4) ‘규범 적 미래사’라는 틀의 제안.

목차

국문초록
 Ⅰ. 근대를 여는 전통에 대해 고찰하기 위하여
 Ⅱ. ‘전통과 근대’의 세계사 구상과 미래설계
  1. 이슬람적 근대성
  2. 이슬람문명의 네트워킹과 분리될 수 없는 유럽의 근대성
  3. 화엄사상 및 성리학(송학)과 이슬람의 타우히드의 연결
  4. 무와틴(muwâtin) 혁명의 개막으로 열리는 전망
  5. 규범적 미래사로 정리하는 나의 역사 구상
 첨언
  1. 일신교에서의 신
  2. 타우히드(tawhīd)의 가능성
  3. 자기 비판과 대화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타가키 유조 Itagaki Yuzo. 도쿄대학교
  • 조성환 원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