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the re-establishment of job competencies and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analyzing the status and needs of the secondary school vice-principals’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survey tool consisting of the basic area, competence area, and speciality area of the secondary school vice-principals’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17 provinces and citie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urvey, 172 vice-princip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erformance average for each competency group and job competence is lower than the importance average value; 2) Vice-principal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and personnel competence groups have higher importance-performance average than the other competency groups; 3) ethical awareness, sense of responsibility, mutual trust, positive thinking,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etc.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 in the same domain and competence group; and 4) In the IPA results, 12 job competencies (44.4%) in middle schools and 13 job competencies (48.1%) in high schools were classified as the maintenance and intensive area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ways to improve the secondary school vice-principals’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한국어
본 연구는 중등 교감의 자격연수 직무역량에 대한 실태 및 요구 분석을 통해 중등 교감 자격연수 직무역량 재설정을 위한 시사점과 개선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감 자격연수 표준교육과정의 기본소양영역, 역량영역, 전문영역의 직무역량별 중요도, 수행도로 분류되는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무선 표집된 전국 17개 시·도 중등학교 교감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172개 중등학교 교감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중·고등학교 교감 집단 간 평균 차이와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① 역량군 및 직무역량별 수행도 평균값이 중요도 평균값에 비하여 낮고, ② 교감 리더십, 조직·인사 역량군의 중요도-수행도 평균값이 전반적으로 다른 역량군에 비하여 높으며, ③ 직무역량별로는 교원공통 역량군의 윤리의식, 책임감, 교감 리더십 역량군의 긍정적 사고, 배려(상호신뢰), 의사소통, 상황대처, 갈등관리, 학교경영 역량군의 준법성·합법성, 조직·인사 역량군의 의사결정, 공정성, 갈등 관리 등이 동일 영역 및 역량군 내에서 중요도-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산출되었다. 마지막으로 ④ 중·고등학교 교감 집단 간 기본소양영역의 책임감 중요도, 역량영역의 배려(상호신뢰) 수행도, 전문영역의 공정성 수행도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이 나타났고, IPA 결과에서는 유지·집중 영역으로 전체 직무역량 27개 가운데 중학교 12개(44.4%), 고등학교 13개(48.1%)가 각각 분류되었다. 상술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행 교감 자격연수 직무역량의 통합·구성,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분리한 중등 교감 직무 분석 수행, 교감 자격연수 총 시수의 영역별 재배정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감 자격연수의 목적과 필요성
2. 교감 자격연수
3. 교감 자격연수 영역별 직무역량 및 분석 준거
Ⅲ.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및 방법
2. 조사 도구
3.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중등 교감의 자격연수 영역별 직무역량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2.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