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고층건물 화재 대피 실험에서 노인들의 건강 상태에 대한 자신감과 대피에 대한 자기효능감 분석 연구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n seniors’ behavior during fire evacuation in order to reflect the reality of the rapid growth in both seniors and high-rise buildings in Korea. A total of 30 seni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1) a low level of confidence had a relationship with a high level of needs on refuge area; (2) the level of confidence on visual and auditory status had relationships with self-efficacy, special exploration, and judgement in risk; and (3) the level of pre-experiment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number of floors they actually passed through.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niors’ confidence on health and cognitive status influenced on pre-experiment self-efficacy, while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implied that the participation in this experiment changed the seniors’ self-efficacy as a meaningful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and provide education for seniors’ safe evacuation by considering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한국어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고층건물이 급증하는 현실을 방영하여 화재 시 노인들의 대피행동에 대한 심리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총 30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고층건물 화재 대피실헙을 진행하였다. 신체적 노화과정이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노령층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노인들의 건강 및 인지상태에 대한 자신감과 위기 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에 중점을 두었다. 분석결 과, 건강 상태에 대한 낮은 자신감은 대피공간에 대한 높은 요구와 관계가 있었으며, 시각 및 청각에 대한 자신감은 자기효능감, 공간탐색, 위기판단과 상관관계를 모였다. 반면, 실험 전 자기효능감은 실제로 이동한 층수와 부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건강과 인지능력에 대한 자신 감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성적 분석결과로부터 대피실험이 노인들에게 자기 효능감을 변화시킨 의미있는 경험으로 작용한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의 대피 를 위한 정책적 배려와 함께, 위기 시 현실적 자신감과 자기효능감을 갖도록 적절한 교육이 제공되 어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고층건물 화재 대피의 특수성
2. 신체적, 인지적 노화와 대피행동
3. 심리적 노화와 대피행동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측정도구
4. 실험설계 및 분석모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분석결과
2. 실험 전과 후 대응표본검정 분석결과
3. 다중회귀모형 분석결과
4. 정성적 자료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