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Existential Meanings of Orientalism in Search for Creativity in Modern - Focused on Quests of Modern Avant-garde's for Religiousness in Oriental Arts and Aesthetics -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the existential meanings of orientalism in search for creativity in the early modern, especially, on the quests of modern avant-garde's for religiousness in oriental arts and aesthetics. Thus, the most notable is the very religious philosophy of ‘Becoming’, which aroused a new self-awareness of the western intellectuals including artists in that period. In a word, the Orientalism could not be explained apart from Universalism risen in the turn of century, that is, the encounter between two cultures came out of course in an idiographic dimension, in general, spread through the universal movement such as Theosophy, Transcendentalism at that time. Notably here, whether for the individuals such as Frank Lloyd Wright, Le Corbusier and Mies van der Rohe, or for the groups such as the cases of Bauhaus, De Stijl, and Constructivism, the Orient was fundamentally the other important object to be researched for their philosophical and religious speculation. To be more concrete, what the avant-garde artists, indeed, got from the Far Eastern arts was their understanding and awakening of the philosophical or religious meanings based on the aesthetics superior to a lesson of ‘simplification’ in the visible form.
한국어
본 연구는 근대 창조성 추구에서 오리엔탈리즘의 실존주의적 의미를 중점으로, 특히 동양 예술과 미학의 종교성에 대한 서양 근대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지적 탐구를 중심으로 한다. 따라서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생성’의 종교철학인데, 그것은 그 당시 예술가들을 포함하는 서구의 지성들에게 새로운 자각을 불러일으킨 것이었다. 한마디로,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고찰은 세기의 전환기에 일어난 보편주의와 별개로 설명될 수 없는 것인데, 즉, 이러한 두 문명의 만남은 개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당시 일반적으로, 신지학, 초월주의와 같은 당시 보편(사상)운동을 통해 확산되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당시 서구사회에는, 특히, 라이트, 르 꼬르뷔지에, 그리고 미스와 같은 개인이건, 혹은 바우하우스, 데스틸, 그리고 구성주의의 경우와 같은 단체이건, 건축 예술가들에게 동양은 근본적으로 그들의 철학적, 종교적 사색을 위한 탐구에 있어 또 다른 중요한 대상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실제 동양으로부터 이끌어 냈던 것은 시각적 형태의 ‘단순화’라는 교훈을 넘어 그 미학의 밑바탕에 깔린 철학적 혹은 종교적 의미들에 대한 이해이자 자각이었다.
목차
1. 서론
2. 동양의 계몽과 서구의 자각
2.1 동양 예술과 새로운 표현으로의 이행
2.2 동양 미학과 예술의 정신성
3. 근대 창조성 예술과 실존주의 건축사상
3.1 창조적 자아의 창조성과 존재론적 표현
3.2 실존주의적 공간과 건축미학의 종교성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