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시조와 인문학

정지용의 난해시와 발표지면의 특수성 ― 「유선애상」, 「파라솔」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 Esoteric Poem and Status by Jeong Jiyong ― Rethinking of the Poem “Yuseonaesang” and “Parasol” ―

김남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known as Jeong Jiyong's esoteric poem Yuseonaesang(流線哀傷) and Parasol in relevance to the ground tried to interpret the announcement. Yuseonaesang the speaker's feelings about ‘streamlined’ is audible through the imagery in caricatured, reveals itself better representation through the sorrow ‘streamlined’ itself to do. Or not ‘streamlined’ sense of sorrow through the speaker can not be revealed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educe the emotions of the speaker who are aware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streamlined' or 'modern' objects, or 'pre-modern' emotions, can not be compatible. Original text of the Parasol-Myeongmo(明眸) is a Jang Bal graphics under the heading Pilgrimage of poetry and painting in central and published writings together Jeong Jiyong that together. Given, en-route route structures of the work can be seen to some extent been resolved. Firebox female model shown in prose an image of women shown in work can relate to the signs that show at the time of the rigor of, with views of the studio, too. The Jeong Jiyong from multiple viewpoints and angles in relation to a sketch of the poetic prose and angle and see the target, contradictions or with modern and understanding of the new woman. Shows the fragmented awareness. It is revealed at the same time, positive or negative, mystification and the rigor of two families, modern experience for the Jeong Jiyong that reveals the complexity of the points as well. This poetic layered with looking at the grand prize is wired Yuseonaesang and Parasol are Jeong Jiyong of work can be called by intuition, especially the announcement in the ground. It can be called the strong intention to comply with the extraordinary nature works.

한국어

본 논문은 정지용의 난해시로 알려진 「유선애상」과 「파라솔」을 발표 지면과 의 관련성에서 해석하고자 했다. 「유선애상」에서는 ‘유선형’에 대한 화자의 감정이 청각적 심상을 통해 보다 잘 드러나는데, 희화된 표현을 통해 ‘유선형’ 자체가 애상을 하지 못하는 것 혹은 ‘유선형’을 통해 애상할 수 없는 화자의 감각이 동시에 드러난다. 즉, ‘유선형’이라 는 당시 문화적 현상 또는 근대적 대상, ‘애상’이라는 보다 전근대적 감정이 양립 할 수 없는 상황을 인식하고 있는 화자의 정서를 유추해볼 수 있다. 「파라솔」의 원본 텍스트 「明眸」가 ≪중앙≫에 ‘시화순례’라는 제목 아래 장발 의 그림과 정지용의 글이 함께 게재되어 있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면, 작품의 난 해성이 어느 정도 해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작품에 드러난 여성의 이미지를 산 문에 나타난 화실의 여성 모델과 연관시킬 수 있으며, 화실의 풍경과 화가의 고 단함 역시 시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정지용은 산문과 장발의 스케치와 관련하여 다양한 시점과 각도에서 시적 대상을 보고 있으며, 신여성에 대한 이해와 근대적 인 것과의 모순 혹은 분열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긍정이나 부정, 신비 화나 고단함의 양가성이 동시에 드러나면서도, 근대적 경험에 대한 정지용의 복 합성이 드러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처럼 「유선애상」과 「파라솔」은 시적 대상을 다층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정 지용의 직관에 의한 작품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발표 지면의 특수성에 부합하 려는 의도가 강한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목차

1. 서론 — 「유선애상」과 「파라솔」이 차지하는 위상
 2. 「유선애상」 고찰
 3. 「파라솔/明眸」 고찰
 4. 결론 — 시대인식과 발표지면의 특수성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남규 Kim, Nam-Kyu. 한양여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