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상경험 초등학생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rauma

이혜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raumas. For this purpose, 365 students who reported traumatic experiences among 525 5th and 6th graders in 4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extra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posttraumatic growth, inva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l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cond,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Specifically, the invasive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sequential mediation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ls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grounds of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raumas. This study implies that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trauma treat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외상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4개 초등학교의 5~6학년 학생 525명 중 외상경험을 보고한 36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외상 후 성장,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 침습적 반추는 의도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도적 반추 역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외상경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외상 후 성장 모형의 경험적 근거를 제시한 것으로, 초등학생의 외상 치료 및 외상 후 성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에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측정 도구
  자료 분석
 결과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측정모형 검증
  연구모형 검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혜미 Hye Mi Lee. 서울교육대학교
  • 김유미 You Me Kim. 서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