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the Major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major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positive(+) influ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negative(-) influence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our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the major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course and to support the individual 's effort to impro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areer information collection, goal setting, planning, problem solving, self-evalu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hen these efforts are made, it leads to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which can solve the unemployment problem of university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3, 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준비행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공만족도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는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 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행정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 계획수립, 문제해결, 자기평가)을 향상하기 위한 교과목 운영, 진로상담지원체계 구축, 대학생 자 신의 노력이 동반될 때 보다 취업준비행동으로 이어져 대학생의 미취업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II. 이론적 배경
1. 전공만족도
2. 진로결정자기효능감
3. 취업준비행동
4.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방법
IV. 연구결과
1. 측정변수 간 상호상관행렬 및 기술 통계치
2. 측정모델의 부합도 및 모수치 추정 결과
3. 경로모델의 부합도, 모수치 추정 결과 및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V. 결론
1. 논의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