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1930년대 금강산 기행가사에 투영된 여행체험의 의미

원문정보

1930s Geumgang Mt. travel gasa, the intersec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Focused on Geumgangsanyooramga by Jang ilsang

유정선

이화어문학회 이화어문논집 제44집 2018.04 pp.213-24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eanings of travel experiences projected on the works of Mount Kumgang travel gasa in the 1930s by focusing on Kumgangsanyooramga by Jang ilsang. Modern tourism of Mt. Kumgang was popularized in the 1930s. The writer in this work follows the custom of traditional sightseeing in terms of travel motive, travel form, and composition of the journey. Mt. Kumgang in the work is a place of cultural memory represented by customary preconceptions, holding historical remains and folklore. Mt. Kumgang is reconstructed into a special historical place by restoring historical sites and fables that form the unique locational nature of Kumgang Mountain. Also, existence of tension between such cultural memory with the past on which it was engraved is the present time that constitutes the daily life of the poet. At this time, his daily routine is the present condition of Mt. Kumgang, era of new tradition, and everyday life as a colonial. As a result, the past and the present in the work crosses in friction. In the modern era, travel gasa, which followed the sightseeing tradition in the Confucian culture of Sadaeboo, shows mixture of modern tourism experience and sightseeing tradition. In the 1930s, the Mt. Kumgang travel gasa was more traditional in that it was written by Confucian intellectuals and enjoyed as manuscripts. Jang ilsang’s Kumgangsanyooramga, studied in this research, reveals the uniqueness of Mt. Kumgang as a historic place and shows consciousness as a colonial intellectual. Meanwhile, the values in the past that the poet uses as standard are conservative in that they include family and the collective value of ancestry.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1930년 지어진 장일상의 「금강산유람가」를 통해서 1930 년대 금강산 유람가사 속 여행체험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1930년대는 금 강산의 근대관광이 대중화된 시기로 특징되는데, 이 작품 속 작가는 여행 동기와 여행형태, 노정의 구성 면에서 전통적인 산수 유람의 관례를 따르 고 있다. 작품 속 금강산은 관습적인 선경으로 표상되며 역사고적과 설화들을 온축하고 있는 문화적 기억의 장소이다. 금강산의 고유한 장소성을 형성 하는 고적과 설화들을 복원함으로써 금강산은 각별한 역사적 장소로 재 현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적 기억이 새겨졌던 과거의 시간과 긴장관계 에 있는 것은 시인의 일상을 구성하는 현재의 시간이다. 이때 시인의 일 상은 금강산의 현실태이자 신풍속의 시대이며, 식민지인으로서의 일상이다. 그 결과 작품 속 과거와 현재의 시간상은 교차하면서 마찰하고 있다. 사대부의 유교문화 속에서 산수 유람의 전통을 이어왔던 기행가사는 근대에 이르러 근대관광체험과 산수유람 전통이 혼재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중 1930년대 금강산 유람가사는 유교지식인들이 지었고 필사본으로 향 유되었다는 점에서 보다 전통적이다. 본고에서 다룬 장일상의 「금강산유 람가」는 특히 유교지식인의 금강산 여행을 통해 금강산이 지닌 역사적 장 소로서의 상징성을 드러내고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의식을 보여준다. 그 러면서도 시인이 준거틀로 삼고 있는 과거의 시간 속 가치들은 가문과 가계(家系)라는 집단적 가치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수적 성격을 지닌다.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며
 2. 산수 유람의 전통과 일상성의 공간
 3. 금강산 유람, 전통성과 근대성의 교차
  3.1. 선경(仙境)으로서의 각별함과 문화적 기억의 장소
  3.2. ‘오늘 세계’와 새로운 문화의 실감
 4. 1930년대 금강산 기행가사와 유교지식인
 5. 나가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정선 Yu, Jeong-sun.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