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탈낭만화

원문정보

The “De-romanticism” of Love in the Novels of Park Wanso

엽뢰뢰

이화어문학회 이화어문논집 제44집 2018.04 pp.189-21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rk Wanso is full of vigilance against ideology: she never advertises herself as belonging to any doctrine. The sharp insight and introspective consciousness manifested in her literature determines the social critical character of her works, and also decides the realistic attitude in her novels of abandoning fantasy and confronting the world, this is also ture of the love created in her work. “Love” emphasizes the level of relationship; therefore, love affairs are intimately connected to the times. The period of Park Wansos’ work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e Korean War period and industrial society period. In Park’s novels, the love in these two periods seems to be different and extremely similar, with characteristics of “de-romanticism” embodied in novels from which love fantasies are thrown away. War does not only destroy people’s living environments, it also has a tremendous impact on people’s outlook on life. The protagonist in The Naked Tree falls into an “alternative” love since he lost kinsfolk in the war, which is actually a kind of compensation psychology for family bond. In The Man’s House, the protagonist chooses as stable life over the romantic first-love. These two works were written many years apart, but both reflect the love view destroyed by war. During a period of war in which the most basic living conditions cannot be guaranteed, if the protagonist chooses “practical” love due to self-preservation, then the “ostentatious” marriage in industrial society is solely due to the destruction of people’s value systems by money worship. There is an increasing phenomenon of treating marriage as a tool for raising status. Park Wanso’s fiction implies that it is the blind worship of money and material things that results in the impossibility of romantic love; and meanwhile, it also implies that it is impossible to be happy in a marriage lacking love. Moreover, in addition to the popularity of money worship, the specifics of phenomenon of “colonization in life world” appearing under the industrial social background also include the neat and uniform lifestyle in the metropolis. Park Wanso mainly demonstrates the “uniform” lifestyle through the “apartment” in the metropolis. In the novel, the middle-class housewife living in apartment attempts to find a rebellious breach through extramarital sex. However, coincidentally, their plans eventually end up with failure. The sex not enrolled in marriage system itself means the inevitability of failure, and their behavior represents the impossibility of both overturning the existing lifestyle and realizing romantic love.

한국어

박완서는 어떤 주의도 표방하지 않는, 이데올로기를 매우 경계하는 작가이다. 그의 문학에서 나타나는 날카로운 통찰력과 반성의식은 곧 사회 비판적 성격과 연관된 것으로 삶의 현실적 정황과 환상 없이 대면하려는 작가의 현실적 태도가 드러난다. 이는 그의 소설에서 가장 사적 영역에서 발생하는 연애와 사랑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한편 연애는 감정의 이끌 림보다 관계의 차원도 포함하기 때문에 이는 곧 당대의 시대적 맥락과 불 가분의 관계에 놓이는데 박완서의 소설에서 시대적 맥락 속에서 서로 다르면서도 어느 측면에서 맥을 같이 하는 연애관이 나타난다. 생존여건이 보장되지 않은 전쟁 시기 작품의 경우, 파괴된 인간의 ‘실 생활’과 함께 ‘위계질서’나 ‘윤리의식’에서의 파장 역시 나타난다. 『나목』에서 가족의 상실로 무의식적으로 가족애의 복원을 시도하는 여주인공은 심리적 상실감으로 인해 대체적 사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 남자네 집』에서 화자는 낭만적 첫사랑과 현실 법칙을 따르는 ‘실용적’인 사랑에서 후자를 선택한다. 두 작품은 창작 시기 간에 긴 간격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전쟁에 의해 파괴된 연애관이 나타난다. 또한 작중인물이 이에 대해 스스 로 통찰하고 반성하는 모습도 중요하게 그려진다. 이 과정에서 낭만적 첫 사랑조차도 그 신성함을 잃게 되어 탈낭만적 성격이 돋보인다. ‘실용적’ 사랑은 삶의 조건이 보장되지 않은 전쟁 시기에 자아 보존적 요소가 포함 된다면 산업 사회로 진입하면서 만연한 배금주의가 인간의 가치관을 파 괴했을 뿐만 아니라, ‘과시적’ 결혼과 같은 왜곡된 결혼관도 나타나게 만 든다. 과시하기 위해 선택된 결혼은 결국 신분상승이나 신분유지의 수단 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고 사랑의 요소가 배제되어 있으므로 행복할 리 없다. 이런 결혼은 ‘순수한 영혼의 만남’이 아니라 순전히 학벌, 집안, 경제력 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병리 현상으로서의 ‘생활 세계의 식민화’는 물질만능주의적인 세계관과 중산층의 획일화된 생활양 식으로 나타난다. 이는 아파트라는 특정한 도시 공간으로 통해 형상화되 는데 중산층 여성의 탈출 욕망의 왜곡된 방식으로 불륜의 시도가 나타난 다. 그러나 이들은 결과적으로 동일하게 실패로 끝난 것은 획일성의 논리 에 돌파구를 못 내는 것이기도 하고 낭만적 사랑의 불가능성을 의미하기 도 한다.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며
 2. 전쟁에 의해 파괴된 연애관과 사랑의 탈신비화
  2.1. 가족애의 상실과 대체적 사랑
  2.2. 현실 법칙에의 복종과 ‘실용적’ 사랑
 3. ‘생활세계의 식민화’와 낭만적 사랑의 불가능성
  3.1 금전 숭배의 침윤과 ‘과시적’ 결혼
  3.2. 일상 탈출의 욕망과 ‘일탈적 성’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엽뢰뢰 Ye Leilei.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