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이형기 초기 비평에서 역사와 창조성의 문제

원문정보

Two Sides of the Same Coin in Lee Hyeong-ki’s Early Criticism: Focusing on the Effect Relationship with Hideo Kobayashi

양정현

이화어문학회 이화어문논집 제44집 2018.04 pp.169-18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ile Lee Hyeong-ki was mentioned repeatedly in the ‘pure-participation controversy’ of the 1960s in Korean Literature, his early criticism has not been thoroughly focused on since he established his literary world as a poet. Lee’s criticism, which was published intensively in the early 1960’s, inherits the pure critique of the so-called ‘Korean Writers Association,’ which means that he formed his own criticism in the shadow of Cho Yeon-hyun and Kim Dong-ni. However, considering that Cho and Kim have also been influenced by Hideo Kobayashi, we can assess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Kobayashi, Kim, -Cho, and–Lee in terms of impressionist criticism or creative criticism. Lee’s early criticism, including his seminal “Reflections on the Function of Literature”(1964), follows historical view of Kobayashi, who opposed to the historical materialism that presupposes the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the times and the era and has the optimistic outlook that leads from one goal to another. This view of history also works in the same way in Lee’s impressionist logic. As the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which is based on the abstracted scheme should turn its direction rightly to the living experience of reality, Lee recognizes that creative criticism must set its foundation on individual truth, not generalized fact. For Lee, the creativity of criticism and criticism on the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both have the same logical roots: they are sides of the same coin.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이형기의 초기 비평론을 일본 비평가 고바야시 히데오 와의 영향관계 속에서 구명하는 것이다. 이는 1960년대 순수-참여 논쟁에 서 빠짐없이 거론되면서도, 시인으로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구축해왔기 때 문에 비교적 심층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한 이형기의 비평론을 조명 해보고자 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1960년대 초반 집중적으로 발표된 이형 기의 비평은 이른바 ‘문협 정통파’의 순수 비평론을 계승하고 있으며, 이 는 그가 조연현과 김동리의 자장 속에서 비평관을 형성했음을 뜻한다. 그 런데 조연현과 김동리 또한 인상비평론, 혹은 창조적 비평론을 견지하는 고바야시 히데오와의 영향을 다분히 받았음을 고려하면, 고바야시-김동리 -조연현-이형기에 이르는 인상비평적 영향관계를 추단할 수 있다. 그의 대 표적 평문인 「문학의 기능에 대한 반성」을 비롯한 초기 비평문은 고바야 시 히데오의 역사관, 즉 유물사관 또는 목적론적 진보사관의 전제인 시대 와 시대 사이의 질적 차이, 하나의 목적에서 또 다른 목적으로 이어지는 낙관주의적 전망의 부정 등을 답습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역사관은 창조성을 강조하는 이형기의 인상비평적 논리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형기는 추상화된 사관에 근거를 둔 역사 인식이 현실의 구체성을 사상 시키는 것을 피해야 하듯, 비평의 언어 또한 일반화된 도식이 아닌 개개 의 진실을 말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형기에게 비평의 창조성과 유 물사관에 대한 비판의식은 마치 동전의 양면과 동일한 논리의 표리 관계 에 있는 것이다.

목차

<국문개요>
 1. ‘인상’ 비평가로서의 이형기
 2. ‘문협 정통파’와 고바야시 히데오의 영향관계
 3. 역사관의 과잉과 진보사관 배척
 4. 이형기 비평에서 창조성의 근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정현 Yang, Jeong-hyeon.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