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朝鮮時代 奉恩寺의 佛敎的 位相과 文化價値

원문정보

Buddhist Status of Bongeunsa(奉恩寺)and its Cultural Value in the Chosun Dynasty

조선시대 봉은사의 불교적 위상과 문화가치

오경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ongeunsa Temple is a key element in understanding the trends of Buddhism from the early to late year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5). Serving as a royal shrine dedicated to the royal ancestors of the Joseon Dynasty from its early years, the temple has inherited the traditions of the suppressed and alienated Buddhism. As the royal mausoleums of King Seongjong and King Jungjong became enshrined in the temple, the dynasty government officials and nobility flowed in and out of the temple continuously. With the reintroduction of Seunggwa (state examination for Buddhist monks) and the temple serving as the central temple of the dynasty’s Seon Buddhist sect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Bongeunsa also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erms of Buddhist administration. During Imjin Waeran (Japanese invasion) and Byeongja Horan (Qing invasion), its famed monks including Cheongheo and Samyeong joined the wars, and the temple mobilized and managed Buddhist warriors for building and defending Namhansanseon and Bukhansanseong Fortresses. Adding to its central functions for the royal families’ Buddhist rites, protection of the state and Buddhist administration, Bongeunsa provided the intrinsic religious functions as well. The nobility and monks widely exchanged, prepared for the state examinations, and often soothed despair and agonies. Consequently, while performing its religious functions centering on the royal families and ruling class, Bongeunsa helped create and maintain diverse cultures of the Joseon Dynasty.

한국어

봉은사는 조선전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불교의 동향을 이해하는 핵심요소이다. 조선전기부터 왕과 왕실 조상을 추모하는 기능을 담당하면서 억압과 소외된 불교의 명맥을 굳건히 유지시켜나갔다. 성종과 중종의 능(陵)을 수호하고 추모하면서부터는 신료와 사대부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봉은사는 명종(明宗)대 승과(僧科)의 부활과 선종의 중심사찰이 되면서 불교행정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지녔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당시에는 청허와 사명 등이 전란에 참여했고, 이후에는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을 쌓고 수비하는데 경기도와 강원도 사찰의 승군(僧軍)을 동원하고 관리하였다. 봉은사는 욍실의 불교신앙과 호국불교, 불교행정의 중심역할 뿐만 아니라 종교본연의 기능 역시 담당하였다. 사대부와 승려들이 폭넓은 교류를 했고, 과거시험을 준비했으며, 절망과 아픔을 달래기도 하였다. 결국 봉은사는 왕실과 지배층을 중심으로 한 종교적 기능을 담당하면서 왕조의 다양한 문화를 창출하고 유지해갔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佛敎行政과 奉恩寺
 Ⅲ. 佛敎信仰과 奉恩寺
 Ⅳ. 儒者와 奉恩寺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경후 Oh, Kyeong-hwo. 동국대 불교학술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