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장감응담의 변용과 수용에 대한 고찰 - 『삼보감응요략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Reception and Acculturation of the Ganying Tales of Dizang - Focusing on Sanbao ganying yaol e lu -

손진(정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mpiled by the Buddhist monk Feizhuo during the Liao Dynasty period, the Sanbao ganying yaolue lu appears to have been transmitted to Japan soon after it came into existence. No records of it can be found in China and Korea, but several different kinds of old manuscript versions are confirmed to exist currently in Japan. The text was used to propagate Buddhism and appropriated in various collections of Buddhist tales including the Konjaku Monogatarushu. The Sanbao ganying yaolue lu is characterized by content oriented towards the ganying of the Three Refuges, a mode of expression that seeks the epitome, and a format of compilation that consists of multilayered themes. In particular, it is marked by a very clear tendency to transcribe or extract from extant transmitted texts. However, the Ganying Tales of Dizang contained primarily in the last volume of the book are predominantly stories recorded by the compiler Feizhuo himself. Therefore, determining the nature and type of tales contained in this portion of the book is suitable to underst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anbao ganying yaolue lu. As for the Gan-Ying Tales of Dizang, it is representative of medieval Chinese Buddhism. The very first tale here is a revival story of the dead involving a certain Mr. Wang, displaying the process by which an ordinary Buddhist monk is converted into Ksitigarbha Bodhisattva from the Huayan jing zhuanji to the Sanbao ganying yaolue lu. This transformation from an ordinary monk to a Bodhisattva who is responsible for saving the dead, especially those who are reborn in hell, seems to have brought about important changes in the medieval Chinese conception of the afterlife.

한국어

요대의 고승 비탁(非濁)이 찬술한 『삼보감응요략록』은 성립 직후 일본에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한반도에는 전혀 기록이 보이지 않는 것에 비해 일본에서는 현재 여러 종류의 고사본이 확인되고 있다. 불교포교용 자료에 사용되었거나 『금석물어집』을 비롯한 불교설화집에 채화되는 등 폭넓게 수용되어왔다. 『삼보감응요략록』은 삼보의 감응영험을 지향하는 설화의 내용과 요략을 추구하는 표현방식 및 중층적인 주제의 편찬 형태 등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기존의 전승 자료에서 전사하거나 초출하는 경향이 매우 뚜렷하다. 그러나 하권에 주로 수록된 지장감응설화들은 대부분 찬자인 비탁이 직접 채록한 이야기들이다. 이러한 점에서 『삼보감응요략록』의 지장감응담은 해당 문헌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적절하다고 본다. 중국불교의 지장감응담 중 가장 앞선 설화인 왕씨의 사후소생담은 『화엄경전기』에서 『삼보감응요략록』에 이르기까지 평범한 불교 승려를 지장보살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일반적인 승려의 역할에서 사자, 특히 지옥에 다시 태어난 사람들의 구제를 책임지는 보살로 변화된 지장보살의 이야기는 중세 중국의 사후세계 관념에 중요한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이후 동아시아불교의 특징을 규정하는 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화엄경전기』와 같은 초기의 지장영험담에서 왕씨의 사후소생담은 사후세계에 대한 중국적인 상상력과 지장보살 사이의 연결점을 잘 말해주고 있다. 한편 10세기에 편찬된 『지장보살상영험기』에는 이미 본격적인 지장신앙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지장보살의 상(像)을 만들어 경건하게 모시거나 모사하고, 관련된 경전을 독송하는 등 지장신앙의 구체적인 모습은 지장영험담에서 다양하게 확인된다. 『삼보감응요략록』의 지장감응담 또한 이러한 지장신앙의 구체상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삼보감응요략록』에 대하여
  1. 연구사 및 시대적 배경
  2. 『삼보감응요략록』의 성격
 Ⅲ. 『삼보감응요략록』의 지장감응담
  1. 『삼보감응요략록』지장감응담의 유형
  2. 『삼보감응요략록』의 지장감응담
 Ⅳ.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진(정완) Son, Jin(Ven. Jeong-wan).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