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 and time Han-am who had been a head master(Josil, 祖室) of Bongeun Temple in Mt. Sudo moved to Sangwon Temple in Mt. Odae. I point out the involvement of monks like Hong boryong, the chief priest of Woljeong Temple on Choseon Buddhist Chogye Order(中央敎務院) and the real condition(實情) of Odae-san Temples(五臺山門) under the Temple Act promulgated by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in the first half of 1920’s and the effect of 3·1 Movement as the background of his move. I reexamine Han-am’s activities since taking office as a head master of Bongeun Temple in 1923. While tracing the reason and course of his move to Sangwon Temple, I further explore and develop the view that Lee Jongwook asked him for the move to pay off its debts. Moreover, I retrace the origin of theory that he moved to Sangwon Temple in 1925, which has regarded as the established theory of Odae-san Temples and the widely-accepted notion in academic world related to when he moved there and confirm the recent research trend in the subject is changing from it to strengthening the view of 1926 as that time. I also reinterpret the oral materials by Cho youngmyung and Kim kosong. To sum up, we have seen that Han-am left Bongeun Temple around the middle of March in 1926, came to live in Sangwon Temple in early May, took office as a head master of Woljeong Temple, and then moved to Sangwon Temple.
한국어
본고는 한암(漢巖)이 수도산(修道山) 봉은사(奉恩寺)에서 조실(祖室)로 활동하다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로 이거(移居)한 연유와 시기를 고찰한 것이다. 필자는, 그 배경으로 1920년대 전반 일제의 사찰령 체제와 3·1운동의 흐름 아래, 월정사(月精寺)의 주지 홍보룡(洪莆龍) 등의 중앙교무원(中央敎務院) 활동과 오대산문(五臺山門)의 실정(實情)을 살폈다. 이어 1923년 한암의 봉은사 조실 취임과 그 활동을 재검토하고, 한암이 상원사로 이거한 연유와 과정을 추적하면서 월정사의 채무를 해결하기 위한 ‘지암초빙설(智巖招聘說)’을 확대하였다. 또한 한암의 상원사 이거와 관련하여 오대산문(五臺山門)의 정설이자 학계의 다수설인 1925년설을 소급하여 검토하면서 1926년설이 강화되는 학계의 연구 동향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조용명과 金古松의 구술 자료를 분석, 재해석하였다. 요컨대, 한암은 1926년 양력 3월 중순 봉은사를 출발하여 5월 초순 오대산에 입산하여 19일 석탄일(釋誕日)에 월정사의 조실로 취임하고 상원사로 이거(移居) 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1920년대 전반 五臺山門의 실정
Ⅲ. 奉恩寺주석과 上院寺로의 移居연유
Ⅳ. 1925년ㆍ1926년 歸山說의 검토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