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서부의 문수신앙과 西夏 오대산의 개창

원문정보

The Belief of Manjuśri Bodhisattva in Western China and the Emulation of Mt. Wutai in Tangut

중국서부의 문수신앙과 서하 오대산의 개창

계미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elief of Manjuśri Bodhisattva begun from Dang dynasty that how it was flourished and developed in Tunhuang, Uigur and Xixià[西夏國]. At the time which was under the rule of Turfan some altar portrait of Manjuśri Bodhisattva[文殊變] was enshrined in Mogao Caves[莫高窟]. At the time of Wu Dai[五代] a large complete map of Mt. Wutai was established in the sixty first cave of Mogao of Tunhuang which was a base of Silk road culture and also a foundation of Manjuśri belief of Wutai mountain by Tunhuang residents. The sixty one cavern of Mogao was also called by Manjuśri-hall since a statue of Manjuśri Bodhisattva was enshrined.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a record of Mt. Wutai belief by Uigur people in the Hall of Jù-lóng[居庸關] of the Great Wall near Peiking of China . The empire of Xixià established in 11st century the Manjuśri belief of Mt. Wutai was also flourished but the Xixià people could not pilgrimize Mt. Wutai of Shanxi province at that time for diplomatic problem with Sòng dynasty of China. So the royal family of Xixià by the demand of northwest Buddhist of China wishing pilgrimize on Mt. Wutai had emulated the belief of Mt. Wutai in the valley of Mt. Hèlán of Língzhōu. The examine of Mt. Wutai belief in Xixià is attractive for this writer that the source of the belief on Manjuśri Bodhisattva in Mt. Hèlán was a site of practicing asceticism by Muru[無漏], a Buddhist pilgrim of Silla for ancient India. At the time of the An Lushan Rebellion in 755 A.D. emperor Sùzōng[肅宗] ascended the throne from a feudal lord who experienced a master Muru appeared in his dream who practiced asceticism in the valley of Mt. Hèlán of Língzhōu. The emperor invited the master Muru and the master Bùkōng[不空] to lead the religious rite for national salvation in the imperial palace of Chángān[長安] and also in the place of honored visit by emperor. After three hundred years the royal family of Xixià designated Mt. Hèlán as a second Mt. Wutai of Língzhōu and constructed some temples that enshrined Manjuśri Bodhisattva in the valley of Mt. Hèlán where the Master Muru still practiced asceticism that made the place as a foundation of Mt. Wutai belief on Manjuśri Bodhisattva by Tangut people. The Tangut people repaired Great Buddhist Stupa of Xiàyuàn[下院], Língzhōu that had enshrined statue of the master, Muru in the past. All of Buddhist devote of royal family of Xixià comes from an establishment of religious base of their own that emulated the belief of Mt. Wutai which copied the belief of Manjuśri Bodhisattva in Mt. Wutai in China that was flourished in Korea and Japan province.

한국어

본고는 당(唐)대부터 유행했던 오대산 문수보살신앙이 중국 서북부인 돈황과 위구르, 서하국(西夏國)에서는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서술되었다. 실크로드의 거점 도시인 돈황 막고굴에는 토번의 돈황 지배기에 여러 문수변(文殊變)이 조성되었다. 이어 오대(五代)에는 막고굴 제61굴에 대형의 오대산전도(五台山全圖)가 조성되어 돈황인들의 오대산 신앙의 중심지가 되었다. 제61굴에는 문수보살상도 조성되었기에 그곳을 달리 문수당(文殊堂)이라고도 하였다. 한편 북경 인근의 만리장성 거룡관에는 위구르인들의 오대산 신앙을 엿볼 수 있는 기록이 남아 있어 그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어 11세기에 건국된 서하국에서도 오대산 문수신앙이 크게 유행하였다. 그러나 서하인들은 송(宋)과의 정치적인 이유로 산서성 오대산 순례가 불가능했기에, 서하왕실은 오대산 순례를 희망하는 중국 서북부 지역 불자들의 요청으로, 영주(靈州) 하란산(賀蘭山) 백초곡에 오대산신앙을 이식하였다. 서하국의 오대산 신앙이 우리에게 더욱 뜻 깊은 이유는 하란산 문수신앙의 발원지가 바로 신라의 천축구법승 무루(無漏)의 수행지였기 때문이다. 안사(安史)의 난(755년)으로 영주에서 등극한 당 숙종은 하란산 백초곡에서 수행하던 무루를 현몽하고, 그를 어렵게 모셔와 불공삼장과 함께 행재소(行在所)에서는 물론, 장안의 황궁에서도 구국 기도를 이끌게 하였다. 그로부터 약 300년 후 같은 지역에서 건국한 서하왕실에서는 무루가 수행하던 하란산을 오대산으로 상정하고, 그가 수행하던 백초곡에 문수보살을 주존으로 모신 여러 사찰을 창건하여 서하인들의 신앙의 중심지로 삼았던 것이다. 또한 그들은 무루의 소상을 모신 영주(靈州) 하원(下院)의 굉불탑(宏佛塔)도 크게 보수하였다. 서하왕실의 이런 노력은 이미 한국과 일본에 이식되어 있던 오대산신앙을 모범으로 삼아 자신들의 신앙처를 마련한 결과이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중국 서부의 문수신앙
  1. 토번과 위구르의 문수신앙
  2. 五代의 돈황 제61굴
 Ⅲ. 서하 오대산 개창
  1. 서하 오대산 개창의 배경
  2. 서하의 五台山文殊信仰
  3. 신라 無漏와 하란산 백초곡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계미향 Kye, Mih-yang. 전북대학교 박사후 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