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재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 내용 영역과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 Analysis on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Gifted High School - Focusing on Content Area and Subject Competency -

이은경, 전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gifted school and obtain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for the math-gifted children in Korea, therefore providing a point of view for the improvements. In order to attain these purposes, the study examined the subject competency for the mathematics set by regular mathematics curriculum system and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extracted the analytical standards, based on which the education plan documents of each gifted school were analyzed. The conclusion that has been mad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in the gifted schools in korea is heavily concentrated on analytics and algebra. Secondly, in mathematics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 Korea puts the most emphasis on the problem solving competency. Third, geometry subject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n gifted schools deals with the given content only at the level of regular high school curriculum. Fourth, learning materials in most gifted schools are not the ones especially revised and adapted for the gifted students but usually the ones for the college students. Lastly, gifted schools are running the curriculum featured with curriculum compacting and advance learning focusing on acceler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유일의 수학영재 전일제 교육기관인 영재학교의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수학영재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영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정규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수학교과 역량을 규준으로 분석기준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각 영재학교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용 영역은 해석학과 대수학 영역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 역량은 문제 해결 역량을 가장 강조하고 있는 반면 정보처리와 의사소통 역량은 상대적으로 적게 강조되고 있다. 셋째, 기하학 영역은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수준으로만 다루고 있다. 넷째, 강의교재의 경우, 대부분 대학교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영재학교 자체 제작 교재는 극히 일부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교육과정 압축과 상급학년 내용 학습으로 이루어진 속진 위주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영재학교
  2. 수학영재 교육과정
  3. 수학 교과 역량
  4. 선행연구의 고찰
 Ⅲ. 연구방법
  1. 분석 대상
  2. 도구 및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1. 내용 영역에 대한 분석
  2. 교과 역량에 대한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경 Lee Eungyeong.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전영주 Jeon Youngju.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