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정조의 효치(孝治)와 사회복지 구현

원문정보

Jeongjo’s Ruling by Filial Piety(孝治)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Welfare

金海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thesis, Jeongjo’s rule by filial piety(孝治) and social welfare were examined. Generally in Confucianism(儒家), when parents’ love[慈] and children’s love[孝] are realized properly, the awareness of one body is aroused, when an elder brother’s love[良] and a younger one’s love[弟] are embodied appropriately, brotherly love is created, when a husband’s righteousness[義] and a wife’s virtue[德] are materialized right, roles between a man and a wife will become harmonized, when a superior’s grace[惠] and a junior’s obedience[順] are realized well, a sense of order is established, and when a leader’s love[仁] and a vassal’s loyalty[忠] are embodied properly, a righteous society can be established. As everyone knows, Joseon dynasty made Neo-Confucianism a national ideology. Therefore, the basic national policy pursued not ruling by force but ruling by justic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emphasizing humanization through enlightenment(敎化) in order to suppress the compulsory abuse of laws and improve human independence. Jeongjo, the 22nd king, relieved the poor and victims as the policy to stabilize people’s livelihood, and also enacted and proclaimed Jahyuljeonchik(字恤典則) called as the modern welfare system for children. Moreover, as the policy to respect the aged, the stability of the nation was reinforced through Noinjik(老人職) Jesu(除授), Gajaje(加資制), Sijeong(侍丁), Bokhoje(復戶制), Yangroyeon and etc. Theì implementation of these social welfare policies by Jeongjo is interpreted to have resulted from his strong awareness of ruling by filial piety(孝治). He succeeded traditional Confucian ethics that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孝弟) are the basis to practice benevolence(仁) on’, and furthermore, argued that returning what one has received from one’s ancestors is ‘filial piety(孝)’, giving to descendants is ‘affection(慈)’, kindness to the same race is ‘harmony(睦)’, and when the kindness to the same race(同族) becomes expanded, it is ‘benevolence(仁).’ His strong consciousness of ruling by filial piety and practice were realized into social welfare. It is because it is the reason for a nation’s existence.

한국어

이 논문은 정조의 효치(孝治)와 사회복지에 관해 고찰한 글이다. 일반적으로 유가(儒家)에서는 부모의 사랑[慈]과 자식의 사랑[孝]이 올바르게 구현될 때 일체의식이 일어나며, 형의 사랑[良]과 아우의 사랑[弟]이 올바르게 구현될 때 우애가 생기며, 남편의 의로움[義]과 아내의 덕성[德]이 올바르게 구현될 때 부부간의 역할이 조화를 이루며, 윗사람의 은혜로움[惠]과 아랫사람의 순종[順]이 올바르게 구현될 때 질서의식이 확립되며, 지도자의 사랑[仁]과 신하된 사람의 충성[忠]이 올바르게 구현될 때 정의사회가 이룩된다고 본다. 주지하듯 조선왕조는 성리학을 이념으로 삼은 나라다. 따라서 국가의 기본정책은 패도가 아닌 왕도정치를 지향하였다. 이는 법의 강제적 남용을 억제하고 인간의 자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교화(敎化)를 통한 인간화 작업을 중시하는 특징이 있다. 제22대 임금인 정조는 민생 안정책으로 빈민과 이재민을 구호하는 한편 근대적 아동복지제도로 불리는 자휼전칙(字恤典則)을 제정, 반포하였다. 또한 경로정책으로 노인직(老人職) 제수(除授)와 가자제(加資制), 시정(侍丁)과 복호제(復戶制), 양로연 등을 통해 국가의 안정을 다져 나갔다. 정조가 이러한 사회복지정책을 시행한 데는 바탕에 효치(孝治)에 대한 의식이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한다. 그는 ‘효제(孝弟)가 인(仁)을 실천하는 근본이다’라는 유가의 전통적 윤리관을 계승하고, 나아가 조상으로부터 내려 받아 되돌리는 것을 ‘효(孝)’라 하고, 자손에게 내려주는 것을 ‘자(慈)’라 하며, 동족에게 베푸는 것을 ‘목(睦)’이라 하고, 동족(同族)에게 베푸는 것을 더욱 확장하면 이를 ‘인(仁)’이라 주장한다. 효치에 대한 확고한 의식과 실천이 사회복지로 구현되는 것이다. 국가의 존재이유이기 때문이다.

목차

<요약>
 Ⅰ. 緖論
 Ⅱ. 正祖의 孝治意識과 構造
 Ⅲ. 正祖의 社會福祉 具現
  1. 민생 안정책
  2. 자휼전칙
  3. 경로정책
 Ⅳ. 結論
 <참고문헌>
 

저자정보

  • 金海永 김해영. 水原大學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