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금 근로자의 스킬미스매치 집단을 판별하는 변인 구명

원문정보

Identifying Variables Differentiating Skill Mismatch Groups of Paid Workers in Korea

나승일, 오춘식, 김영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differentiate the skill mismatch group of Korean wage worker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of 5,333 paid workers in the 18th survey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in 2015.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age of wage workers is 44 years old, the average number of years of education is 13 years, the average monthly wage is about 192,000 won, workers working in small companies on average worked for about 7 years and a majority of workers recognize their skill levels as appropriate. Secondly, the educational age, socioeconomic status, wag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kill-deficient workers were higher in the underskilled workers than the than those of the appropriate or overskilled workers. On the other hand, the overskilled workers showed a higher proportion of forma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and a higher education level fit than the appropriate and underskilled workers. Thirdly, the variables that differentiate the workers' skill mismatch group (appropriate, overskill, underskill) were education level fitnes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wage, job satisfaction, gender, marital status and the accuracy of classifying this skill mismatch prediction group is as high as 96.6%. In particular the level of education fit of workers, marital status and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variables were found to effectively discriminate between all the skill group (appropriate, underskill, overskill).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의 스킬 미스매치 집단을 판별하는 변인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분석 대상은 2015년에 조사된 18차 한국노동패널조사에 포함된 임금 근로자 5,333명이었다. 주요 결과는 첫째,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의 인구학적 및 근무 특성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고, 평균 나이는 40대 중반이며, 중소기업에서 정규직 7년차로 근무하며, 월평균 월급은 중임임금(208만원)수준보다 적은 190여 만원이다. 이들은 대체로 수행하고 있는 직무에 만족하고 소속한 조직에 몰입하며, 그들의 스킬 수준은 요구되는 것을 적절히 갖추고 있다. 둘째, 임금 근로자들은 스킬 수준에 따라 스킬 적정, 과잉 혹은 부족 근로자로 구분되는데 이들의 인구학적 및 근무 특성은 대체로 유사하다. 그러나 스킬 과잉 근로자는 직업훈련 경험은 스킬 부족 또는 적정 근로자에 비해 많으나 직무만족과 조직몰업 정도는 낮은 편이다. 한편 스킬 부족 근로자의 교육연한은 스킬 적정 또는 과잉 근로자에 비해 약 1~1.5년이 길며 조직 몰입과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셋째, 근로자의 스킬 미스매치 여부는 교육수준 적합도, 직업훈련참여 여부, 교육연한, 임금, 직무만족, 성별, 혼인상태에 대한 정보로부터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근로자의 교육수준 적합도, 혼인상태 및 직업훈련참여 여부는 스킬 적정과 그킬 부족 및 과잉 근로자를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변인이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스킬 미스매치의 유형, 측정 및 선행연구
  2. 스킬 미스매치와 관련 변인
 Ⅲ. 연구 방법
  1. 분석 자료
  2. 변인 설정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임금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 및 스킬 미스매치
  2. 스킬 미스매치 집단별 일반 특성의 차이검증
  3. 스킬 미스매치 집단에 대한 판별분석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나승일 Seung-Il Na. 서울대학교/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오춘식 Chun-Shik Oh. 서울대학교
  • 김영흥 Young Heung Kim.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