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4차 산업혁명 대비 미래 유망 자격종목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Potential Vocational Qualifications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조정윤, 나승일, 이영민, 김영흥, 조성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future promising qualification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search procedures were carried out with analysis of forecast for future new technologies and labour supply and demand, analysis of polic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position of future prospective job group, deriving qualification items that require new development and review, developing future promising qualification items. The main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First, the employment in the new industrial sector based on new technologies in the future will increase. Second, in the future, with the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jobs, higher qualifications and education levels will be required. Third,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major developed countries, the government is promoting policies related industries such as manufacturing based on IT technology. Fourth, the development of future promising qualification items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all be carried out by 1) Composition of group of prospective jobs, 2) Selection qualification items that need to be established through an expert council, 3) Review and validity qualification items through ISC and relevant association surveys, 4) Review and validity qualification items through an expert workshop, 5) Development of the final future promising qualifications. Fifth,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ed to develop qualifications of big data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IoT service and so 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유망 자격종목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절차는 미래 신기술 및 인력수급 전망 분석, 국내외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 분석, 미래 유망 직종 예비 후보군 구성, 신설 필요 자격종목(안) 도출, 신설 필요 자격종목(안) 검토 및 타당화, 미래 유망 자격종목 도출의 6단계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 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산업 분야에서의 고용이 증가할 것이다. 둘째, 미래에는 직업들의 세분화 및 전문화로 현재보다 높은 자격 및 교육수준이 요구될 것이다. 셋째, 주요 선진국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IT 기술을 기반으로 제조업 등 관련 산업과의 융복합을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넷째, 4차 산업혁명 대비 미래 유망 자격종목 개발은 1) 미래 유망 직종 예비 후보군 구성, 2)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신설 필요 자격종목(안) 선정, 3) ISC 및 관련 협회 설문조사를 통한 자격종목(안) 검토 및 타당화, 4) 산업현장 전문가 워크숍을 통한 자격종목(안) 검토 및 타당화, 5) 최종 미래 유망 자격종목 도출의 5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빅데이터분석, 인공지능, IoT서비스, 클라우드시스템운영, 공간정보분석, 가상현실시스템, 스마트시스템, 3D메디컬부품제작, 전기자동차수리, 드론수리, 웨어러블기기수리, 스마트팜시스템, 국외수종관리, 핀테크시스템, 금융상담시스템관리, 비대면금융상담, 금융보안분석, 그린하우스건축, 제로에너지하우스, 무인항공촬영의 자격종목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선행연구 고찰
  1.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급 전망
  2. 국내ㆍ외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1. 4차 산업혁명 대비 자격신설 필요 직종
  2. 4차 산업혁명 대비 신설 필요 자격종목(안) 검토 및 타당화
  3. 4차 산업혁명 대비 미래 유망 자격종목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정윤 Jeong-Yoon Cho. 글로벌스킬자격연구원
  • 나승일 Seung-Il Na. 서울대학교/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영민 Young-Min Lee. 숙명여자대학교
  • 김영흥 Young-Heung Kim. 서울대학교
  • 조성은 Sungeun Cho. 숙명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