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웨덴 거주 이주민 밀집지역의 게토화 실태와 원인 : 말뫼(Malmő)시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Ghettoization and Causes of the Immigrnt Settlement in Sweden : Focusing on Malmő City

김철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hettoization and Causes of the Immigrant Settlement in Swed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partially explore the phenomenon of hyperghetto, city relegation, precariatization, and ghettoization of migrants.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Sweden Malmö is one of the richest cities and has a reputation as a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international city in Sweden, but recently it has become a city of poverty, unemployment, polarization of housing, City demolition is occurring. Although Swedish immigrants can not assume that precariat is going on, they are unstable and somewhat latent when they compare employment, unemployment, poverty and inequality to the Swedish. Of the Malmö region in Sweden, Rosengård is a place where more than 90% of the migrants live and can not integrate with the Swedish culture, but will continue to form and maintain the Arab-Islamic culture. In addition, they are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and they are more likely to reproduce the present state rather than social movements and have become increasingly isolated. The policy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ies influencing hyperghettoization were due to the failure of urban planning, the nature of pro - marketism, and the policy of refugees. Miljonprogram(Million Program: MP), a large-scale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1960s and 1970s, was misguided and unlike the original intention, the residential area was not linked to other social activities such as culture and economic activities. This has not led to the purchase of housing by the middle class or the labor class, and the immigrants centering on the socially vulnerable classes have been concentrated. In addition, the privatization policy, which started with the right of the right - wing regime in the 1990s, led to the polarization of housing, and the permission of private schools created the phenomenon of separating into racial and class divisions. And the Swedish refugee policy also influenced ghettoization, a failure of the government's overloading and refugee dispersion policies due to generous refugee policies. With the refugee-friendly policies of the Swedish government, many refugees have come to the country and the government has been unable to cope with welfare, housing, medical and social expenditures. In addition, the refugees were distributed evenly in Sweden, but they did not succeed due to the absence of job or social network.

한국어

이 연구는 스웨덴 거주 이주민 밀집지역인 말뫼시의 게토화 현상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말뫼시에서 하이퍼게토 현상인 도시강등화, 프레카리아트화, 이주민의 밀집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하이퍼게토의 성격에 영향을 주는 주요 원인은 스웨덴 정부의 도시계획의 실패, 1990년대 이후 친시장주의 성격의 정책의 실패, 난민정책의 실패였다. 1960~1970년대에 스웨덴 정부는 백만가구신축프로그램(Miljonprogram: MP)을 통해 새로운 주거 단지를 조성하여 국민들에게 근대화된 주거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계층이 주거함으로써 사회통합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MP하에 건설된 신축주거지역에는 국내 경제의 위축과, 잘못된 도시설계로 인해 사회적 취약계층, 그 중에서도 이주민들이 집중적으로 밀집하게 되었다. 또한 1990년대에 집권한 우파정권은 사회제도를 친시장주의적 성격으로 수정하기 시작했다. 이 중 주거정책과 교육정책은 이주민 밀집지역의 게토화를 심화시켰다. 주거 수당의 삭감과 축소, 주택 시장의 민영화, 민간 영역에서 독립학교 설립 등은 인종간 민족간 양극화와 분리를 만들어냈다. 스웨덴은 난민정책 또한 의도하지 않은 효과를 만들어냈다. 스웨덴 정부의 난민친화정책으로 많은 난민들이 스웨덴에 입국하면서 복지, 주거, 의료 및 사회 지출면에서 감당할 수 없는 상태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에 스웨덴 정부는 난민분산정책을 실시하여 입국한 난민들이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시도하였으나, 직업이나 사회관계망의 부재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는 말
 2. 기존 연구검토와 본 연구의 초점
  2.1 게토에 대한 논의
  2.2 게토의 원인에 관한 논의
  2.3 연구의 초점
 3. 스웨덴 이주민 거주지역의 게토화 실태와 원인
  3.1 스웨덴 게토지역의 이주민의 현황
  3.2 스웨덴 이주민의 게토 원인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철주 Kim, Cheoljoo. 서울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